산업 산업일반

[투자없인 미래없다] 효성

첨단소재·전자재료 등 새 먹을거리로 키운다<br>신재생에너지 사업 등도 적극<br>"2020년 업계 톱 도약" 목표

효성 직원이 울산공장에서 아라미드 원사의 품질을 검사하고 있다. /사진제공=효성


효성은 그룹의 각 사업분야에서 절대적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신시장 개척, 기술개발에 주력하는 한편 지속성장을 위한 미래 성장동력 발굴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아울러 중추 사업인 핵심소재와 중전기기 사업을 강화함으로써 오는 2020년까지 세계 최고의 첨단소재, 그린에너지 기업이 되겠다는 구상이다. 효성이 미래성장동력으로 추진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업으로는 ▦탄소섬유, 아라미드, 스틸코드 등 첨단소재 사업 ▦TAC필름과 광학용 필름 등의 전자재료 사업 ▦스마트그리드 등의 신재생 에너지 사업 등을 꼽을 수 있다. 폴리에스터 타이어코드 부문에서 독보적 세계 1위인 효성은 지난 6월 글로벌 타이어메이커인 굿이어와 총 18억 달러 규모의 스틸코드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등 스틸코드 분야에서도 그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특히 공급계약과 함께 미주(노스캐롤라이나 애쉬보로), 유럽(룩셈부르크 비센)에 있는 굿이어의 스틸코드 공장 2곳을 인수하기도 했다. 효성은 이번 계약으로 전세계 시장점유율을 7%대에서 1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한편 폴리에스터 타이어코드와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세계 유일의 글로벌 종합 타이어보강재 메이커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최근 독자기술을 기반으로 한 중성능 탄소섬유 개발에 성공한 효성은 상업화를 위해 2013년까지 2,500억원을 투자해 전주 친환경복합산업단지에 연 생산 2,000톤 규모로 탄소섬유 공장을 건립하기로 했다. 오는 2020년까지 탄소섬유 분야에 총 1조2,000억원 규모의 투자도 진행할 계획이다. 효성은 또 탄소밸리 조성사업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방침이다. 효성은 광학용 폴리에스터(PET) 필름과 산업용 필름 등 산업소재 분야의 경쟁력 강화에도 역량을 쏟고 있다. 지난 해 4월부터 울산 용연공장에 연산 4만톤 규모의 필름 생산 설비를 구축하고 있으며 2012년부터 생산을 개시할 계획이다. 광학용 필름은 LCD의 중요 소재로서 최근 LED TV, 스마트폰 등 액정 장치를 탑재한 디지털 기기가 급증함에 따라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 산업용 필름 중 하나인 태양전지용 필름도 신재생 에너지가 부각됨에 따라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되는 제품이다. 앞서 효성은 2009년 고강도 수퍼섬유인 아라미드를 자체기술로 개발하기도 했다. 효성의 아라미드 섬유 브랜드인 알켁스(ALKEX)는 강철보다 5배 강도가 높으며 섭씨 500도에도 연소되지 않는 뛰어난 내열성과 화학 약품에 강한 내약품성을 지니고 있다. 효성은 2009년 8월 울산 공장 내에 연 생산 1,000톤 규모의 아라미드 공장을 완공하고 시장확대에 본격 나서고 있다. 효성은 이외에 고강력 수퍼소재인 탄소저감형 프리미엄 케톤 등 신소재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R&D)을 진행 중이며 LED 등 전자소재 분야에서도 R&D를 추진하고 있다. 에너지 및 플랜트 분야에서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리딩 기업이 되겠다는 비전을 갖고 있는 중공업 분야에서는 신재생 에너지 분야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풍력과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효성은 이미 국내 최초로 2010년 9월 한국전력공사 신제주변전소와 한라변전소에 스마트그리드 제품인 50MVA 스태콤 2기를 공급한 바 있다. 스태콤은 전기의 송배전시 손실되는 전압을 보충하고 전력운송의 안정성을 높이는 설비로 발전량이 급변하더라도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유연전송시스템 FACTS의 핵심설비 중 하나다. 이와 함께 효성은 한국전력과 공동으로 충전 스테이션을 건립하는 등 차세대 교통수단인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사업도 본격화하고 있다. 효성은 앞서 2010년 11월 제주도 스마트그리드 종합홍보관, 중문 롯데호텔 충전소, 구좌읍 사무소 등 제주지역 5곳에 충전스테이션 설치를 완료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