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가계 연간 이자지급 부담액 40조원 육박

가계빚 7년새 124% 급증, 이자부담도 눈덩이

올해 전체 가계빚 규모가 472조원으로 커지고 그에 따른 가계의 이자지급 부담액이 4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초저금리 기조속에 물가상승 압박이 계속됨에 따라 앞으로 금리가 인상될경우 과도한 가계빚 규모에 따른 이자부담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그로 인해 가계의 소비지출을 더욱 옥죄는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분석됐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가계대출과 판매신용(외상구매)을 합한 가계신용은 지난해말 447조6천억원에서 올해 6월말 현재 458조원으로 늘었으며 연말까지는 472조2천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에 따른 가계의 이자부담액은 지난해말 기준으로 37조4천억원에서 올해말에는39조원에 이를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이러한 분석에는 지난 8월의 콜금리 0.25%포인트 인하가 감안되지 않은 것으로,이를 반영하면 올해말 가계의 이자부담액은 39조원보다는 약 4천억원 정도 줄어들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1997년 가계빚 총액은 211조2천억원, 가계의 이자부담액은 24조1천억원에그쳤으며 따라서 7년 사이 가계빚은 124%, 이자부담 규모는 62% 급증한 셈이다. 한은은 특히 가계의 차입금 증가로 금리변동으로 인한 이자부담 변동이 증대됨에 따라 금리변동이 가계소비에 미치는 영향력도 크게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예컨대, 대출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는데 따른 가계부담은 1997년 2조원이었지만 2004년중에는 4조6천억원으로 커지는 것으로 추산됐다. 또 금리 1%포인트 상승으로 인한 가계처분가능소득 대비 추가 이자부담액 비율은 0.65%에서 1.04%로 껑충 뛰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부담해야하는 이자가 처분가능소득보다 많아진다는 말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물가상승 억제를 위한 금리인상 국면이 초래될 경우 가계소비의 위축정도는 과거보다 훨씬 더 심각한 수준이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박상현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