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리비아와 우호협력관계 구축 서둘러야

무려 42년에 걸쳐 리비아를 철권 통치해온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이 사실상 막을 내리면서 포스트 카다피 체제 대응이 발등의 불이 됐다. 주요 산유국이자 중동 지역의 최대 건설시장인 리비아에는 현재 국내 건설업체들이 추진 중인 건설사업만도 상당수에 이르고 있다. 카다피 정권이 붕괴되고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 중단됐던 각종 공사 재개와 피해보상은 물론 전후 복구사업 참여 등을 위한 새로운 관계정립에 적극 나서야 할 상황이다. 카다피가 이미 국외로 탈출했다고 알려지고 있는 리비아는 반군 대표기구인 과도국가위원회(NTC)의 주도로 과도정부가 곧 출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카다피 추종세력의 저항과 부족 간 혼란이 가중될 경우 장기간 혼란에 빠질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관측도 있다. 그러나 NTC가 국가재건 로드맵 마련에 착수하면서 조만간 정국이 수습되고 질서가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를 낳고 있다. 이에 따라 현지 진출 건설사들을 중심으로 사업현장 복귀 움직임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전후 복구사업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우리의 3대 해외 건설시장인 리바아에는 지난 2월 현재 21개 건설사가 총 47개 현장에서 105억달러 규모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가운데 74억달러 규모의 공사가 내전 이후 중단된 상태다. 이 같은 건설사업을 재개하는 동시에 복구사업 등을 수주하기 위해서는 우선 정부 차원에서 NTC와의 긴밀한 접촉을 통해 기존 사업계약의 효력을 유지하고 재산권을 보호받을 수 있도록 외교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 시민군 측이 이 부분에 대해 긍정적인 의사를 나타낸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분위기는 우호적이다. 내전과정에서 야기된 건설현장 등의 피해 보상과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도 중요하다. 3,000억여원에 달하는 건설사들의 미수금을 가능한 한 빨리 받아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정부가 리비아 시민군에 100만달러를 지원하기로 하는 등 발 빠른 대응에 나섬으로써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카다피 이후 리비아와 우호적인 외교관계를 구축하고 하루빨리 경제교류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정부와 업계 모두 발벗고 나서야 할 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