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1,000억이상 공공공사 작년 낙찰가율 ‘급락’

지난해 1,000억원 이상 공공공사 낙찰률이 56.9%로 사상 최저수준으로 급락했다. 17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조달청이 발주한 예정가격 1,000억원 이상 신규공사의 평균 낙찰률이 저가 수주경쟁으로 전년도에 비해 7.7%포인트 하락한 56.9%로 급락했다. 이에 따라 저가 수주에 따른 부실공사가 우려되고 있다. 연도별 1,000억원 이상 공사 낙찰률은 ▲98년 80.6% ▲99년 74.5% ▲2000년 74.1% ▲2001년 64.5% ▲2002년 64.6% 등으로 최근 5년간 23.7%포인트나 하락했다. 반면 지난해까지 최저가 낙찰제가 적용되지 않은 공사의 낙찰률은 모두 80%선을 넘어섰다. 예정가 규모별로 보면 ▲1억원 미만88.0% ▲1억~5억원 미만 87.5% ▲5억~10억원 미만 87.4% ▲10억~30억원 미만 86.7% ▲30억-50억원 미만 86.8% ▲50억~100억원 미만 86.1% ▲100억~500억원 미만 83.5% ▲500억~1,000억원 미만 80.5% 등 이었다. 더구나 올해부터는 최저가 낙찰제 적용범위가 500억원 이상 공사로 확대되고 건설경기가 침체로 낙착률은 더욱 떨어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또 저가심의제도가 도입되더라고 이 같은 저가 수주경쟁 경쟁은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저가심의제는 입찰가가 전체 입찰자 평균보다 20% 이상 낮을 경우 부적정한 것으로 보고 무조건 탈락시키는 제도다. 업계 관계자는 “보증요건이나 벌점규제를 강화하는 등 보완책에도 불구하고 최저가낙찰제 시행 이후 낙찰률이 계속 하락했다”면서 “최저가낙찰제 확대와 건설경기침체에 따른 일감부족 등으로 올해 저가 수주경쟁이 더욱 과열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조달청이 발주한 신규공사의 평균 입찰 경쟁률은 229대 1로 전년도(219대 1)보다 높아져 경쟁이 심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철균기자 fusioncj@sed.co.kr>

관련기사



이철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