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유통업계, 교통부담금 인상 추진에 대책 분주

서울시가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에 부과하는 교통유발부담금을 대폭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함에 따라 업체들이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6일 서울시가 발표한 교통유발부담금 인상안이 확정되면 현재 업체들이 내고 있는 부담금은 최고 3배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서울시는 지난 16일 시내 교통혼잡을 유발하는 대형 건물에 부과되는 교통유발부담금의 단위 부담금을 1㎡당 350원에서 1,000원으로 올리고 지방자치단체가 단위 부담금을 조정할 수 있는 범위도 최대 100%에서 200%로 높이는 방안을 중앙정부에 건의한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서울시에는 22개의 백화점과 60여개의 대형마트가 입점해 있는데 지난해 롯데백화점이 낸 교통유발부담금은 본점 5억원을 포함해 총 26억6,800만원이었다. 현대백화점은 15억8,600만원, 신세계백화점은 11억5,000만원을 납부했다. 대형마트 가운데 이마트는 성수점 2억6,000만원을 비롯해 총 18억원, 홈플러스와 롯데마트가 각각 15억5,000만원과 10억7,800만원을 부담했다. 결국 서울시의 계획대로 인상안이 책정되면 업체에 따라 30억원에서 최고 80억원에 달하는 부담금을 내야 하는 셈이다. 업체들은 이 같은 서울시의 움직임에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주요 백화점들이 가입된 한국백화점협회측은 “(인상안이) 갑자기 제기돼 당황스럽다”며 “아직 서울시로부터 통보 받은 바가 없어 상황을 파악 중”이라고 설명했다. 업체들은 인상안 추진 경과를 예의주시하면서 한국백화점협회를 중심으로 교통유발부담금 동결을 촉구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