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리 오르나" 정부부처 속앓이

이성태 韓銀총재 공격적 통화정책 시사


이성태 신임 한국은행 총재가 공격적인 통화정책을 시사하면서 정부부처에서는 우려스러운 표정이 역력하다. 수출둔화, 낮은 체감경기, 국제유가 상승, 원ㆍ달러 환율 하락 등 불안요인이 여전히 있는 만큼 안정적인 통화정책의 필요성이 크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 총재는 최근 취임식에서 “부동산시장 불안에 대해 한은도 상당한 우려를 갖고 관찰하고 있으며 부동산이 통화정책과 관련된 중요한 부분인 것은 틀림없다”고 밝혔다. 부동산시장 불안이 지속될 경우 선제적인 금리인상 등으로 대응하겠다는 뜻이다. 재정경제부의 한 관계자는 5일 이에 대해 “원론적 수준의 언급일 것”이라고 해석 확대를 경계했다. 그는 “부동산 가격도 물가를 구성하는 일부분인 만큼 통화당국의 수장으로서 충분히 언급할 수 있는 내용”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내심 우려감도 표출했다. 그는 “시중의 유동성 수준이나 물가 압력, 자산가격 변동을 통화정책만으로 대응하기보다는 (통화정책) 변화가 경제에 어떤 충격을 줄 것인지를 보고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에둘러 말했다. 산업자원부는 좀더 우려 강도가 크다. 산자부 관계자는 “최근 가파른 원ㆍ달러 환율 상승으로 중ㆍ소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금리가 상승할 경우 이들 기업이 더 큰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우려감을 나타냈다. 정부 당국자들은 실제로 회복되는 경기지표와는 달리 체감경기가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고 국제유가 상승, 원ㆍ달러 환율 하락 등을 감안해 안정적인 금리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김석동 재경부 차관보도 최근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체감경기 회복이나 소득 개선이 빠르게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이 문제”라며 “거시경제 운용에 있어 금리를 지속적으로 안정시켜나가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