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관가 "자칫 정화대상 되나" 긴장

대통령 '질타' 발언에 공감·불만 엇갈려

10일 기획재정부 업무보고에서 나온 이명박 대통령의 공직사회 질타 발언이 전해지자 관가가 깜짝 놀라면서 긴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대통령은 “기업은 잘못되면 부도가 나고 직원들에게 봉급을 못 준다. 서민이 어려워하고 재래시장 상인들이 장사가 안돼 한숨을 쉬고 있을 때 우리 공직자들은 어떤 심정으로 일하느냐”고 묻기도 했다. 이에 대해 일선 공무원들은 대통령의 발언에 공감을 표시하면서도 “이러다가 공무원 사회가 모두 정화 대상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반응은 크게 엇갈리는 듯하지만 공무원 ‘머슴론’을 강조하는 대통령의 뜻이 분명한 만큼 관가의 대민 자세에 큰 변화가 일 것은 분명해 보인다. 기획재정부는 일단 대통령의 이번 발언을 정부 부처에 대한 기강 잡기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여러 부처 가운데 가장 처음인 재정부의 보고를 받을 때 기강을 잡아놓아야 공무원들이 형식적이고 구태의연한 업무보고를 지양하고 국민을 위하는 마음으로 업무에 임할 것으로 판단했다는 것이다. 업무보고에 참석한 한 간부는 “듣는 사람 입장에서는 긴장이 안될 수가 없었다”면서 “언론을 통해서만 접하던 대통령이 직접 공무원 태도를 질타하는데 분위기가 저절로 숙연해졌다”고 전했다. 그러나 과천의 한 공무원은 “대통령뿐 아니라 새로운 수장들이 앞다퉈 관료들을 비판하는데 괴롭다”면서 “수장이 어떻게 결정되느냐에 따라 정부 정책과 태도도 달라져야 하는 게 조금은 억울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대세가 그런 것 아니냐. 욕을 먹더라도 따라야 되지 않겠느냐”고 토로한 뒤 “중앙부처 공무원은 예전과 많이 달라졌는데 너무 몰라주는 것 같다”고 말하기도 했다. 반면 농수산식품부의 한 관계자는 “국민이 어려울 때 공직자들은 잠을 못자고 고민해야 한다는 말씀은 개방 등 여러 가지로 어려움에 처한 농어업의 돌파구를 찾아야 하는 우리 부처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말했다. 그는 “머슴으로서 국민을 섬기라는 대통령의 국정철학도 정운천 장관이 취임식에서부터 계속 강조하는 내용”이라며 “이 취지에 맞춰 얼마 전 농어업인ㆍ소비자단체장 간담회 때 장관을 비롯한 국장급 간부가 먼저 (현관으로) 나가 영접했다”고 소개했다. 국세청의 한 관계자는 “사실 머슴(공무원)이 주인(국민)과 똑같이 출근하면 언제 일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겠느냐”며 “이날 대통령의 말씀은 공무원 사회에 질책과 함께 앞으로 더 잘해보자는 격려를 동시에 하신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기자와 통화한 많은 공무원들은 대통령의 발언에 긍정적인 반응을 내비치면서도 일각에서는 “대통령의 공무원관이 과거 민간에 있을 때 형성된 이미지 그대로인 것 같아 안타깝고 답답한 느낌이 들었다”는 반응도 많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