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우량·가치·배당… "펀드이름에 속지 말라"


모든 부모가 자식 이름을 지을 때 공을 들이는 것처럼 자산운용사들도 펀드명에 좋은 미사여구를 쓰는 게 일반적이다. ‘우량’ ‘가치’가 대표적인 단어다. 그러나 이름이 좋다고 수익률이 돋보이는 건 결코 아니다. ‘우량’ ‘가치’란 이름에 걸맞지 않게 수천억원의 자금을 모았으면서도 수익률은 하위권을 맴도는 펀드들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순자산액 100억원 이상인 국내 주식형펀드 중 연 수익률이 마이너스 30% 이하인 펀드는 모두 4개(멀티클래스 제외)다. ‘우리CS부울경우량기업플러스’펀드는 연초 이후 마이너스 31.44%로 수익률이 가장 낮다. 부산ㆍ울산ㆍ경남지역 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로, 이들 지역 우량기업인 주요 조선ㆍ철강업체들의 주가가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인 게 수익률 부진의 주요 요인이다. 전형적인 대형 성장주들을 편입한 펀드인 ‘삼성우량주장기펀드’도 수익률이 마이너스 30%에 육박하고 있다. ‘프런티어우량주식’ ‘푸르덴셜핵심우량주플러스주식’ 등도 이름에 걸맞지 않게 ‘우량하지 못한’ 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약세장에서는 가치주펀드가 뜨고 있다지만 ‘가치’라는 단어가 수익률을 보장하는 건 아니다. ‘한국셀렉트가치주식’ ‘프레스티지가치주적립식주식’ 등은 마이너스 26~27%대 손실로 가치주펀드임을 무색하게 한다. 이들은 정통 가치주펀드라기보다는 대형주의 편입 비중이 높다는 게 특징이다. 역시 안정성이 돋보이는 배당주펀드 가운데도 ‘프레시티지고배당주식’ ‘세이고배당주식형’ ‘삼성배당주장기주식종류형’ 등은 모두 마이너스 24% 이상의 손실로 배당주펀드라고 모두 방어력이 뛰어나진 않다는 걸 보여준다. 자산운용업계의 한 관계자는 “차별성 없는 포트폴리오 구성으로 이름에 걸맞지 않게 운용되는 펀드가 상당수”라며 “자칫 이름만 보고 특정 성격의 펀드라고 판단했다가 낭패를 보는 수가 있으므로 운용보고서나 포트폴리오 구성 등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