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靑, 모처럼 언론에 화해 손짓

조선·동아일보 취재거부 해제<br>'潘외교 사표 종용' 보도관련 MBC에 법적 대응도 않기로

청와대가 끊임없이 대척점에 서기만 했던 언론에 대해 모처럼 화해의 손짓을 보냈다.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2일 “그동안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에 대해 취했던 취재 거부 조치를 해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저주의 굿판을 걷어 치우라”며 이른바 보수 언론을 향해 공격의 칼날을 겨눴던 것에 비춰 보면 판이한 상황이다. 윤 대변인은 이날 또 청와대 관계자가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에게 사표를 종용했다는 MBC의 지난 25일 보도와 관련, 정정보도와 함께 법적 대응도 불사하기로 했던 방침도 ‘없던 일’로 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근거 없는 일부의 주장을 메인 뉴스의 톱으로 보도하고 거듭된 해명에도 불구하고 같은 내용을 여러 차례 반복해 편성한 것은 균형을 상실한 의도적 보도로 볼 수밖에 없다”며 목청을 높였던 것에 비하면 뜻밖의 변화다. 청와대가 이처럼 언론에 대해 그동안의 모습과 다른 행동을 취하자 벌써부터 다양한 해석들이 오가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 2일자로 게재된 경향신문 창간 60주년 기념 기고문에서 언론과의 협력관계가 “어렵지만 그런 의지와 희망을 포기하지 않겠다. 참여정부도 역사발전의 다리를 놓고 새로운 시대의 강을 건너는 소명과 책임을 끝까지 다하겠다”며 한층 부드러워진 메시지를 던진 상황. 물론 청와대는 겉으로는 이 같은 ‘변화’의 해석에 대해 손사래를 치고 있다. 윤 대변인은 추석이라는 명절을 맞아 ‘선물’을 주는 것일 뿐 특별히 변한 것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참여정부 종반기를 맞이하고 있는데다 본격적인 대선전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언론에 대한 유화 제스처와 이를 통한 변화의 흐름을 반영한 것이 아닌가라는 여운 섞인 해석이 드리워지는 것이 사실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