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공기업 기관장 공모 '너도나도'

오퍼상부터 교수·연구원·전직 장관…<br>"이번엔 '청와대 사전 내정' 없을것" 기대감<br>KOTRA 49명·가스公21명·한전 19명 몰려



”오퍼상부터 연구원, 대학교수, 전직 장관까지….” 한전ㆍ석유공사ㆍ가스공사ㆍKOTRAㆍ수출보험공사 등 5개 대형 공기업을 대상으로 지난 9일 마감된 기관장 공모에 응모자들이 홍수처럼 밀려들었다. ’기관장 사전 내정설’ 등 공모와 관련된 청와대의 가이드라인이 이번에는 없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공모마감 결과 KOTRA에는 49명이 응모해 기록적으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가스공사에도 21명, 한전에도 19명이 응모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우리도 높은 경쟁률을 보고 깜짝 놀랐다”며 “응모자들의 직업 역시 오퍼상에서 연구원, 대학교수, 전직 장관 등 다양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아마 청와대의 사전 내정설이 이번에는 작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가 기관장 공모시장을 자유경쟁시장으로 만든 듯하다”고 설명했다. 이는 최근의 촛불시위 등 사회적 혼란의 원인이 이명박 정부 초기의 인사실패라는 비판여론이 높아지면서 가급적 공기업 기관장 인선에 청와대가 개입하지 않으려는 분위기가 급속도로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최근 국토해양부 산하 공기업 기관장 인선과 관련, ‘고소영, S라인’ 인사 논란이 일자 이 같은 분위기는 더욱 강화되고 있다. 박영준 기획조정비서관 등 청와대의 핵심적인 공직인선 라인이 물러나는 것도 한 요인이다. 실제 청와대는 이번 대형 공기업 기관장 인선과 관련해 ‘가급적 민간인사를 선호하고 참여정부 고위직 출신은 어렵다’는 정도의 가이드라인만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같은 가이드라인 역시 최근 물러난 이원걸 전 한전 사장, 이수호 전 가스공사 사장이 그 자리에 재응모하면서 “정말 직전 기관장의 재응모 금지 가이드라인이 맞느냐”는 말도 나오고 있다. 이 전 한전 사장은 10일 기자와의 전화통화에서 ‘그런 얘기(가이드라인)를 듣지 못했다”고 말했다. 반면 최근 수출보험공사 사장직에서 물러난 조환익 전 산업자원부 차관은 자리를 바꿔 KOTRA에 응모했다. 한편 정부는 이번 공모에서 적당한 인물이 없을 경우 재공모를 진행할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공기업 기관장 인선이 한꺼번에 이뤄지면서 기관별로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낳고 있다”며 “이에 따라 일부 기관의 경우 응모인사 중 적당한 인물이 없어 재공모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