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원자력 전문회사 세운다

새정부, 수출산업 육성 겨냥 민-관 공동참여 추진<br>새만금에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시범단지 조성<br>기후 관련산업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우기로

원자력 전문회사 세운다 새정부, 수출산업 육성 겨냥 민-관 공동참여 추진새만금에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시범단지 조성기후 관련산업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우기로 이혜진 기자 hasim@sed.co.kr 새 정부는 원자력산업을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민관이 참여하는 '원자력 전문회사'를 설립할 계획이다. 또 새만금에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시범단지를 조성하는 등 5년 내 글로벌 톱3에 오를 재생에너지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각종 지원 방안을 마련, 기후 관련 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는다는 방침이다. 사공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국가경쟁력강화특별위원회 위원장은 13일 "전세계적 기후 위기를 기회로 삼아 기후산업을 육성해 신성장동력을 확보할 방침"이라며 "이를 위해 에너지 효율 강화,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 및 보급, 원자력 활용에 중점을 두고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허증수 인수위 기후변화ㆍ에너지TF팀장은 "대형 원전 2기를 수출할 경우 그 부가가치만 해도 5조원에 달한다"며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원자로 건설 경험과 운영 능력을 수출하기 위해 국내 원자력산업 체계를 유기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인수위는 오는 2030년까지 약 300기의 원전 신설 수요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는 700조원에 달하는 시장 규모다. 또 우리나라의 원전기술은 세계적으로 10년 내 경수로를 건설한 프랑스ㆍ일본 등과 함께 3개국에 포함되며 건설비용 측면에서 프랑스(kW당 1,828달러), 미국(kW당 1,894달러)보다 훨씬 낮은 1,508달러 수준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 정부는 이 같은 원전기술의 부가가치 극대화를 위해 민관이 동시에 참여하는 원자력 전문회사를 만들 계획이다. 인수위의 한 관계자는 "민관이 참여하는 전략투자회사(PPPㆍPublic Private Partnership)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싱가포르 등 에너지 선진국에서는 국가전략 차원에서 민관 합동 투자회사를 설립, 운영 중이다. 그는 또 직접적인 원전 건립자금 조달이 사실상 어려운 제3세계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전략투자회사를 페이퍼컴퍼니로 설립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새 정부는 5년 내 글로벌 톱3 재생에너지기업을 육성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정부와 민간의 재원 확충도 구상 중이다. 이를 위해 새만금 등에 풍력ㆍ태양광과 같은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시범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새만금 외에도 전략적으로 곳곳에 신재생에너지를 도입해 해외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한다. 이를 통해 현재 0.8% 수준인 전세계 신재생에너지 시장점유율을 2012년까지 5%까지 늘릴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