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남성 직장인, 정장차림 출근 줄었다

10명 중 3.2명은 평일 캐주얼 출근

다양한 캐주얼 의류 출시와 남성들의 패션의식변화 등으로 올 들어 정장 차림으로 출근하는 남성 직장인 비율이 크게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패션연구소는 26일 올해 봄.여름 시즌 남성들의 출근복 경향을 조사한 결과셔츠와 넥타이를 맨 정장차림의 비율이 67.8%를 기록해 지난해 73.5%보다 5.7%포인트 하락했다고 밝혔다. 반면 캐주얼 의류를 입고 출근하는 남성 직장인 비율은 지난해 26.5%에서 올해32.2%로 크게 높아졌다. 이번 조사는 평일 출근시간대 시청과 여의도, 삼성역 등 기업 사무실이 밀집한지역의 거리에서 대중 교통을 이용해 출근하는 남성 직장인 2천959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남성 직장인들의 정장차림 비율은 외환위기 직후인 지난 99년 76.6%로 정점을기록한 이래 점차 하락해 지난 2001년에는 벤처 열풍과 캐주얼 차림의 확산 등으로인해 65.8%까지 떨어졌다. 정장출근 비율은 이후 2002년 73.3%, 2003년 73.5%로 반등했다가 올해는 다시떨어져 3년만에 60%대로 낮아졌다. 정장차림 중에서는 상.하의가 세트인 수트를 착용한 비율이 90.1%로 압도적 다수를 차지했고 상.하의의 색상이 다른 콤비 스타일이 7.9%, 재킷을 입지 않은 스타일은 2.0%로 각각 조사됐다. 재킷의 종류별로는 단추가 3개인 `3-버튼 스타일'이 81.4%를 차지했고 나머지는대부분 `2-버튼 스타일'이었다. 캐주얼 중에서는 재킷을 입고 넥타이를 매지않은 스타일이 늘고 점퍼류 등의 캐주얼은 감소하는 등 이른바 `격식을 갖추는 캐주얼'의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이같은 정장 출근 비율의 하락은 캐주얼 의류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남성들의 패션의식이 높아진 데다 주5일 근무가 늘면서 직장인들의 `캐주얼 마인드'도 확산되고있는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의류업계 관계자는 "이같은 현상은 최근 남성 캐주얼 부문에서 점퍼보다 편안한스타일의 재킷이 많이 팔리고 있는 것과도 연관이 있을 것"이라면서 "이에 맞춰 업체들도 출근 복장으로 무난한 재킷류의 출시를 늘리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지훈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