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입 속의 보물, 치아 이야기] 이가 시릴때

충치·치아손상 등이 원인… 통증 지속땐 신경치료를


집중호우가 끝나고 본격적인 무더위가 찾아오고 있다. 그러나 덥다고 마신 찬물에서 느껴지는 치아의 짜릿함은 무더위보다 더 짜증난다. 찬물을 마시거나 양치질을 할 때 사람을 깜짝깜짝 놀라게 하는 시린 이는 몇 가지 원인이 있다. 대부분은 충치를 떠올리지만 치아손상이 원인인 경우도 의외로 많다. 치아는 가장 바깥쪽에 '법랑질'이라는 물질이 싸고 있다. 법랑질은 우리 몸에서 가장 단단한 부분으로 딱딱하거나 차갑고 뜨거운 음식을 마음놓고 먹게 해준다. 그 안에는 '상아질'이 있어 법랑질이 손상되면 상아질과 그 안의 신경으로 자극이 바로 전달된다. 흔히 치아가 시리면 '단 음식 등을 먹고 칫솔질을 제대로 하지 않아 충치가 생겼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충치 원인균으로 생기는 산성 물질이 법랑질을 녹여 자극이 치아 속 신경까지 바로 전달돼 시리고 아픈 것이다. 그런데 시린 이로 치과를 찾는 성인 환자를 보면 의외로 충치보다 '치경부 마모증'인 경우가 더 많다. 치경부는 치아 머리와 뿌리 부분을 연결하는 잇몸 바로 위에 잘록한 부분으로 양치질을 수직방향이 아닌 수평방향으로 과도하게 하면 패게 된다. 또 단단하고 질긴 음식을 자주 먹거나 이갈이 등 치아에 비정상적인 힘을 계속 가하면 치아 겉부분이 떨어져나가는데 주로 송곳니나 작은 어금니에서 나타난다 염증 때문에 잇몸이 내려앉아 치아 뿌리 부분이 노출돼도 시린 증상이 생긴다. 원래는 잇몸에 가려져 보호돼야 할 약한 부분이 보호막을 잃은 것이다. 잇몸은 한번 내려가면 다시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잇몸 치료를 통해 염증을 없앤 후 다른 부분의 건강한 잇몸 조직을 이식해 노출된 부분을 덮어야 한다. 시린 이 초기에는 자극이 사라지면 증상도 없어진다. 찬물을 마실 때만 시리고 양치질을 할 때만 불편하다. 때로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줄어들기도 한다. 노출된 상아질의 미세한 관이 칼슘과 같은 물질로 막혀 통증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만약 무작정 기다리다가 증세가 심해지면 치아의 신경조직에까지 염증이 생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 단계까지 가면 가만히 있어도 통증을 느끼게 된다. 시린 이의 원인이 충치나 잇몸질환이라면 그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초기에는 보조적인 방법으로 시린 치아용 치약을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그러나 3~4개월이 지나도 증상이 줄지 않는다면 다른 치료법이 필요하다. 치아 뿌리의 상아질이 노출된 경우는 불소 등이 들어 있는 약물로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치아가 파인 부분을 치아색이 나는 충전재 등으로 채워넣는 것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가만히 있어도 통증이 있는 정도로 증상이 심해지면 신경치료가 필요하다. 시큰한 치아를 '별일 아니겠지' 하고 방치해두면 '정말 큰 별일'이 된다. 시린 이를 원인에 맞게 치료해 무더운 여름, 시원한 물 한 잔을 웃는 얼굴로 마시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