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北 6자회담 복귀 기대감

"부시대통령 '미스터 김정일' 발언은 우호적"<br>北외무성 대변인 발언 계기

북한이 3일 조지 부시 대통령의 ‘미스터 김정일’ 발언에 우호적인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히면서 6자 회담 재개에 기대감이 일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기류가 북한의 근본적인 기조 변화로 이어질 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외무성 대변인은 이날 “미국 대통령 부시가 지난 5월31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우리 최고수뇌부(김정일 국방위원장)에 대해 ‘선생’ 이라고 존칭했다”며 “우리는 이에 유의한다”고 말했다. 대변인은 또 “이번에 부시 대통령이 한 발언이 대조선(對北) 정책을 혼미한 상태에 빠뜨린 미국 내 강온파 사이의 싸움에 종지부를 찍게 된다면 6자 회담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해 교착상태에 있는 6자 회담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대변인은 특히 “우리는 부시 대통령의 발언이 지난 시기처럼 아침 저녁으로 달라지지않는가를 지켜볼 것”이라고 말해 향후 미국의 일관된 태도가 회담 재개의 결정적 변수임을 거듭 강조했다. 부시 행정부가 확실하게 온건한 입장을 정립하면 북한도 6자 회담에 임할 수 있음을 내비친 셈이다. 대변인은 이와 함께 “미국이 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진실로 바란다면 ‘폭정의 전초기지’ 발언을 철회할 용단을 내려 6자 회담 재개에서 최대의 걸림돌을 들어내야 한다”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대변인의 이날 발언은 최근 들어 미국에 대해 가장 유화적이고 긍정적인 언급이다. 고유환 동국대 교수는 “북한은 분명히 6자 회담에 나오겠다는 의도를 갖고 있다”며 “미국이 최고지도자를 비난해 최소한의 대화 조건을 없애지 말아달라는 뜻”이라고 해석했다. 더욱이 북한 박길연 유엔대사가 2일(현지시간) 캐나다 토론토대학 강연에서 "우리(北)는 미국의 영원한 적으로 남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밝힌 점도 대화 재개의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박 대사는 특히 "미국은 우리의 이데올로기와 시스템을 존중해 주길 원한다"고 말해 미국이 북한 체제를 흔들지않겠다는 점이 보장될 경우 대화에 나설 뜻을 내비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