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韓日 경제협력 복원 시급하다

한ㆍ일 관계가 실타래처럼 꼬일대로 꼬이고 있다. 39시간 동안 동해에서 계속됐던 양국함정의 해상 대치란 초유의 사건이 이를 상징적으로 말해준다. 1일부터 제주에서 열린 ‘200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에 참석한 일본 경제산업상이 자유무역협정(FTA)체결 등 많은 현안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한국측과 별 접촉 없이 귀국해버린 것도 뒤틀린 한ㆍ일 관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만큼 양국간의 불신의 골이 깊어진 것이다. 마주 달려오는 기관차처럼 감정에 치우친 한ㆍ일 양국의 맞대응으로 양국 협력의 틀 자체가 흔들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설사 이달 말 예정돼 있는 정상회담을 통해 대화의 분위기를 되살린다고 해도 일본정계에 우경화 바람이 강해지고 “네탓 공방”이 계속되는 한 상호불신을 해소하는 데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이란 비관론이 지배적이다. 다행히 일본엔 여전히 ‘한류’(韓流)가 시들지 않고 있고 일본기업의 국내투자도 호조세를 유지하고 있다. 양국정부와 정계만이 북한 핵 문제 등 어느 때보다도 협력이 필요한 때인데도 자존심을 건 감정싸움에 치우치고 있는 것이다. 독도의 날 조례제정이 그렇고 “일본과의 외교전쟁도 불사하겠다”는 고위층의 발언도 그렇다. “한ㆍ미 정보교류에 문제가 있다”는 야치 외무차관의 발언도 상대에 대한 배려를 찾아볼 수 없다. 감정싸움을 하다 보니 양국관계와 경제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 FTA협상은 지난해 11월 이후 실종된 상태다. 현재까지는 뒤틀린 한ㆍ일 관계가 경제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지만 이런 상태가 계속되면 경제도 난기류에 휩싸일 가능성이 있다. 꼬인 실타래를 풀기 위해서는 야스쿠니(靖國)신사참배 같은 돌출행동이나 불필요하게 상대를 자극하는 발언과 행동을 삼가는 등 상대에 대한 배려를 바탕으로 대화 채널을 복원하는 것이 시급하다. 동해에서 일어난 초유의 해상대치가 대화로 밧줄을 풀었듯이 이러한 자세로 대화를 하면 뒤얽힌 한ㆍ일 관계를 풀 수 있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한ㆍ일 양국은 정상회담이 이를 위한 한 전기를 마련할 수 있도록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