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현대위아 국내 첫 1600톤급 프레스 개발

현대차그룹 계열의 현대위아가 국내 최초로 1,600톤급 프로그레시브 프레스 개발에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프로그레시브 프레스는 특정 소재가 완성제품으로 탄생하기까지의 전공정을 하나의 금형을 통해 순차적으로 가공하는 프레스로 시트레일이나 섀시 부품 등 소형 차량부품을 대량 생산할 때 사용된다. 독일과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세번째로 개발에 성공한 이 프레스는 인장강도가 100㎏/㎠까지 증대돼 두께가 얇으면서도 강도가 뛰어난 제품을 성형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현대위아는 이 프레스 1호기를 최근 자동차 시트 전문 제작업체인 ㈜다스의 인도법인에 성공적으로 설치했으며 2호기를 경주공장에 설치해 시운전과 품질검사를 거친 뒤 오는 7월 초 자동차 시트레일 성형에 본격 투입할 계획이다. 시트레일은 차량 시트 하단부에 위치해 좌석의 위치를 조절하는 장치다. 그동안 국내 자동차 업계가 사용해온 기존 시트레일은 주로 일본에서 제작한 500톤급 프로그레시브 프레스로 성형한 제품으로 최대 인장강도가 60㎏/㎠에 불과했다. 하지만 현대위아가 개발에 성공한 프레스로 만든 시트레일은 강도가 높아 시트의 변형이나 파손이 거의 없어 사고발생시 승객의 안전을 최대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위아의 한 관계자는 "1,600톤급 프로그레시브 프레스의 국산화를 통해 연간 200억원의 수입대체 효과는 물론 300억원가량의 장비수출도 가능할 것"이라며 "향후 단계적으로 프레스 개량작업을 통해 섀시 부품 등 자동차 주요 제작공정에까지 사업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