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2015년 국산화율 50%로

시스템반도체에 1조7,000억원 투입<br>지경부, 육성전략 발표


자동차ㆍ휴대폰ㆍ디지털TV 등에 들어가는 시스템반도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민관합동으로 5년간 1조7,000억원이 투입된다. 상대적으로 취약한 시스템 반도체 산업을 집중 육성해 오는 2015년까지 국산화율을 50%까지, 반도체장비 국산화율도 35%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지식경제부는 9일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반도체 코리아 제2의 도약'을 위한 '시스템반도체 및 장비산업 육성전략'을 보고했다. 시스템 반도체는 제어ㆍ운영을 담당하는 정보기술(IT) 기기의 두뇌 역할을 하는 반도체로 지난해 기준 세계 시장규모가 메모리 반도체(441억달러)의 4배가 넘는 1,858억달러에 달하고 시장 성장성도 연간 15%로 전망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대기업ㆍ메모리 위주의 반도체 산업구조여서 반도체 장비에 대한 해외의존도가 높은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우리나라의 시스템 반도체 시장점유율은 3%에 불과하고 지난해 수입액이 전체 메모리 반도체 수출액(159억달러)을 넘어서는 177억달러에 달해 불균형이 심각한 상황이다. 정부는 우선 핵심기술을 전략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주력산업 차세대 경쟁력의 기반이 되고 해외 기술을 따라잡는 것이 가능한 부문에 집중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4세대 휴대폰, 3차원(3D) TV, 전기자동차 등 3~5년 후 상용화가 가능한 핵심 시스템 반도체를 수요연계형 대형 R&BD 방식으로 국산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휴대폰용(차세대 휴대폰용 모뎀ㆍ멀티미디어칩ㆍ무선 접속칩) ▦디지털TV용(화질·신호개선칩, 글로벌 DTV 수신칩, 3D영상 처리칩) ▦자동차용(샤시제동칩ㆍ차량통신칩ㆍ변속제어칩ㆍ엔진제어칩) 등이 대상이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 등 종합반도체회사 중심의 반도체 산업 구조를 재편, 중소ㆍ중견 시스템 반도체 업체들을 대거 육성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정부는 시스템반도체산업의 핵심으로 불리는 팹리스의 대형화와 수요창출 지원에도 나설 방침이다. 잠재력 있는 창업·초기기업을 대상으로 앞으로 5년간 민관 합동으로 500억원을 지원, 세계시장 규모가 5억달러 이상인 품목 중 시장점유율 10% 이상인 '스타 팹리스 10개사(SF-10)'를 신규로 육성할 계획이다. 팹리스의 설계 능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생산전문기업인 파운드리에 대해서는 분야별 전문화를 통해 팹리스 접근성을 높여 지난해 6% 수준인 국내 파운드리의 세계 시장점유율을 2015년까지 15%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이밖에 정부는 경기 판교의 테크노밸리와 충북 테크노파크를 연결하는 반도체 클러스터를 만들어 중소ㆍ중견기업 지원을 강화하고 2015년까지 설계인력 양성사업 등을 통해 석ㆍ박사급 고급 인력을 1만여명 양성한다. 정만기 지경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이번 대책을 통해 2015년까지 시스템반도체의 시장점유율을 현재 3%에서 7.5%로, 장비산업은 8%에서 13%로 끌어올리는 등 글로벌 시장에 본격 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