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李대통령, 국회의장·야당대표 "FTA 대화로 풀자"

만남 추진, 야 '先대책 後비준' 입장 견지… 수용 미지수

이명박 대통령이 막바지에 이른 17대 국회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동의안을 처리하기 위해 임채정 국회의장과 야당 대표들을 만나기로 한 것은 시급한 국정현안을 야당과의 대화를 통해 풀겠다는 강한 의지로 보인다. 이 대통령이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 논란 등 잇따른 국정난맥을 솔직히 인정하고 야당을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내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이른바 ‘정치적 해결’ 방법을 선택한 것이다. 이에 따라 박재완 청와대 정무수석이 19일 손학규 통합민주당 대표와 이회창 자유선진당 총재를 잇따라 만나 청와대의 이 같은 입장을 전달했다. 이 대통령은 무엇보다 한미 FTA 비준에 강한 의욕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명박 정부의 모토인 경제 살리기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첫 단추인 한미 FTA의 국회 통과 없이는 어떤 조치도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없다는 현실인식 속에서 야당 측에 손을 내민 것이다. 또 여의도 정치를 부정해온 이 대통령이 야당과의 만남을 선택한 것은 한미 FTA 비준에 걸림돌이 될 수 있는 정치 현안에 대해 야당에 대승적으로 양보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이 같은 기류 속에서 이 대통령은 회동이 성사될 경우 야당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면서 한미 FTA 비준과 민생법안 처리를 위한 협조를 구하는 데 전력할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 “한미 FTA는 전 정부에서 체결한 것 아니냐”면서 “야당도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또 야당과의 ‘소통 단절’로 국정운영에 적지않은 애로를 겪었다는 판단에 따라 이번 회동을 계기로 대야 협조체제 구축에 적극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야당이 이 같은 청와대의 제안을 수용할지는 미지수다. 야당은 ‘선(先)보전대책 강구, 후(後)비준동의’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데다 최근 쇠고기 파문으로 첨예한 전선이 구축돼 있어 이 대통령의 요청을 선뜻 받아들이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지난 4월24일 이 대통령이 방미ㆍ방일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마련된 여야 지도부 초청 오찬 회동에서도 손 대표는 “당내 반대에도 불구하고 17대 임기 내 FTA 비준을 위해 노력했으나 쇠고기 협상으로 역효과가 나지 않겠나 생각한다”면서 “FTA와 관련한 피해 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이 나오지 않으면 상당히 어려운 국면에 처할 수 있다”고 분명한 선을 그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