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도-농 교육격차 '여전'

초등학교 기초학력 부진 학생 비율은 줄어

기초학력 수준에 못 미치는 초등학생 비율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도농 간 격차는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과외나 학원 등의 도움을 받는 학생보다 혼자 숙제를 해결하고 부모가 숙제를 확인해주는 학생의 기초학력 점수가 높게 나타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가 기초학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해 10월 실시한 초등학교 3학년 국가 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 기초학력 미도달 학생 비율이 읽기 2.2%, 쓰기 1.3%, 기초수학 2.6%로 나타났다며 14일 이같이 밝혔다. ‘국가 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란 초등학생들의 기초학력 도달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전국 초등학생 62만6,677명 중 2만540명(3%)을 대상으로 읽기ㆍ쓰기ㆍ기초수학 등 3개 영역을 평가한다. 평가 결과를 보면 기초학력 미도달 학생 비율은 읽기 2.2%, 쓰기 1.3%, 기초수학 2.6%로 2006년도에 비해 읽기 0.2%포인트, 쓰기 0.7%포인트, 기초수학 1.8%포인트 감소했다. 특히 기초학력 진단평가가 처음 실시된 지난 2002년과 비교하면 읽기 1.2%포인트, 쓰기 1.7%포인트, 기초수학 4.2%포인트 줄어들었다. 성별로 비교하면 남학생이 읽기와 쓰기에서, 여학생은 기초수학에서 미도달 비율이 높았다. 남학생의 경우 읽기 3.1%, 쓰기 2.0%, 기초수학 2.3%였고 여학생은 읽기 1.3%, 쓰기 0.6%, 기초수학 2.8%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중소도시의 기초학력 미도달 학생 비율(읽기 1.6%, 쓰기 1.0%, 기초수학 2.4%)이 가장 낮았고 읍ㆍ면지역 비율(읽기 3.6%, 쓰기 2.0%, 기초수학 3.6%)이 가장 높았다. 대도시 비율은 읽기 2.4%, 쓰기 1.5%, 기초수학 2.4%로 나타났다. 읍ㆍ면지역의 경우 기초학력 미도달 학생 비율은 2002년(읽기 5.5%, 쓰기 4.9%, 기초수학 10.2%)에 비해 크게 줄었지만 대도시ㆍ중소도시보다는 두 배가량 높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