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첫 국회 앞두고 한껏 기 세운 황우여ㆍ김진표

黃, 대학등록금 인하 본격 추진<br>金, 정부여당 엇박자 지적

여야 원내사령탑이 취임 이후 처음 열리는 6월 국회를 앞두고 일제히 연일 날을 세우고 있다. 정부와 청와대가 국정운영을 주도하는 가운데 여야가 각각 당 우위의 당정관계와 대여(對與) 공세 강화를 목표로 삼은 데 따른 현상이다. 또 정국 주도권을 쥐고 6월 국회 운영을 논의할 여야 원내대표회담에서 협상력을 높이려는 전략도 한몫을 하고 있다. 동시에 두 원내대표가 각각 당내 존재감을 높이겠다는 포석도 깔린 것으로 보인다. 요즘 한나라당은 황우여 원내대표의 강성발언이 연일 화제다. 취임 직후 추가 감세 철회를 내세운 그는 취임 20일 만인 25일 대학등록금 부담 완화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었다. 특히 당정 간 조율을 강조하던 이전 원내대표와 달리 “필요하면 대통령에게 건의하겠다”며 청와대를 에둘러 압박하는 모습이다. 황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한 호텔에서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과 만나 국가 장학금 확대 등 등록금 완화방안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황 원내대표를 지켜보는 당내 시선은 둘로 갈린다. ‘새로운 한나라’ 등 소장파는 이날 추가 감세 철회를 밝히는 등 황 원내대표에게 힘을 실어줬지만 구주류에 속하는 중진의원 사이에서는 노골적인 불만이 드러났다. 정몽준 전 대표는 이날 MBC 라디오에 출연해 “(황 원내대표가 맡은) 당 대표대행은 오는 7월4일 전당대회까지 임시직”이라며 “‘임시’가 다하면 어떻게 되냐”고 꼬집었다. 홍준표 전 최고위원도 “반값 등록금 논의에 앞서 사학비리 척결과 건전한 운영이 전제돼야 한다”며 “본말이 전도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심재철 의원과 김문수 경기도지사도 공개 비판했다. 이들은 황 원내대표의 등록금 인하정책을 포퓰리즘으로 지적하고 있는데 속내에는 반값 등록금 정책을 낸 적이 있는 박근혜 전 대표를 견제하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도 보인다. 목소리를 높이는 건 김진표 민주당 원내대표도 마찬가지다. 그는 최근 인사청문회 대상 후보자들을 ‘고소영 비리 5남매’로 규정하며 ‘온건파’에서 벗어나 날을 세웠다. 정책에 대해서도 전직 경제ㆍ교육부총리 출신으로서 친정인 정부를 알고 지적한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의 “추가 감세는 예정대로, 무상복지는 불가” 발언에 대해 “황 원내대표가 (추가 감세 철회 등을 통해) 반값 등록금을 추진하겠다고 한 발언과 정면으로 배치된다”며 “한나라당이 여기서 우왕좌왕하고 태도와 말을 바꾼다면 이제는 한나라당이 콩으로 메주를 쑨다 해도 국민이 믿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원내대표는 정부의 뉴타운 정책을 비판한 데 이어 앞으로 전월세상한제, 반값 등록금 등 정책을 지속적으로 비판할 계획이다. 이러한 발언은 6월 국회의 첫 여야 협상을 앞두고 협상력을 최대한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임세원기자 임세원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