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대기업M&A대출 규제등 유동성 옥좨 물가 잡는다

성장서 물가·민생으로 'MB노믹스'도 전면수정<br>재정부 '경제안정 종합대책'


대기업M&A대출 규제등 유동성 옥좨 물가 잡는다 李대통령 "3차 오일쇼크라 할만한 상황"재정부 '경제안정 종합대책' 신경립 기자 klsin@sed.co.kr 정부가 물가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는 과도한 유동성과 관련해 대기업 인수합병(M&A) 대출 규제 등 관리 강화에 나선다. 정부는 2일 과천 정부청사에서 기획재정부ㆍ지식경제부ㆍ보건복지가족부 등 경제부처 장관들이 참석한 가운데 발표한 '경제안정종합대책'에서 "정부 출범 이후 경제여건이 급격히 악화함에 따라 하반기 경제정책은 물가와 민생 안정을 우선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물가안정 노력 강화 ▦민생안정 지원 강화 ▦일자리 창출 ▦성장잠재력 창출 등 세부 정책과제를 내놓았다. 이와 함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을 당초 6%에서 4%대 후반으로 낮추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3%에서 4%대 중반으로 올리는 등 정부 출범 넉 달 만에 올 경제예측을 대폭 손보면서 성장 위주로 꾸려진 'MB노믹스'의 궤도를 사실상 전면 수정했다. 강만수 재정부 장관은 이와 관련해 "하반기 유가가 배럴당 170달러까지 치솟을 경우 물가 오름폭은 6%대에 이르는 반면 성장률은 3%대로 추락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부는 대기업 중심으로 과도하게 풀린 시중 유동성을 억제하기 위해 올 하반기부터 대기업 M&A 자금대출을 규제하고 저소득층 선별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주택바우처제도'를 내년부터 시범 도입하기로 했다. 강 장관은 "최근 광의통화(M2) 증가율이 15%를 넘어섰다"며 "현재의 유동성 증가속도는 경제성장률을 감안할 때 과도한 수준이며 물가상승 압력 요인이 되는 게 사실"이라고 밝혀 과도한 가계대출이나 기업대출에 대한 경계감을 나타냈다. 한편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우리가 직면한 어려움은 1, 2차 오일쇼크에 준하는 3차 오일쇼크라 할 만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이 난국을 정부만의 노력으로 극복하기는 어렵다"며 "정부와 국회ㆍ기업ㆍ근로자 모두가 위기극복을 위해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당부했다고 이동관 청와대 대변이 전했다.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