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뉴타운 없는 세상


"뉴타운도 나름의 장점이 있는 개발방식인데… 참 답답합니다."(서울시 관계자) 요즘 부동산시장에서는 뉴타운이 단연 '뜨거운 감자'다. 3~4년 전만 해도 서로 뉴타운으로 지정 해달라고 손을 흔들던 지역이 많았는데 불과 1년 사이에 분위기가 확 달라졌다. 뉴타운 '해체' 작업은 이미 일사천리로 진행되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일정 기간 동안 사업이 진행되지 않은 뉴타운 내 재개발ㆍ재건축구역은 구역 지정을 해제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뉴타운사업의 본질이 여러 구역을 한데 묶어 학교ㆍ공원 등을 체계적으로 집어 넣는 것임을 감안하면 사실상 이제 더 이상 뉴타운을 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서울시 역시 뉴타운 같은 전면 철거 위주의 재개발 대신 주거지 형태를 보존하는 이른바 '휴먼타운' 방식의 정비 사업에 힘을 싣겠다는 입장이다. 스스로 낳아 기른 뉴타운을 부정할 수밖에 없는 정부나 서울시의 입장도 일면 이해는 된다. 내년이면 총선과 대선이 치러지는데 '뉴타운은 대국민 사기극(김진표 민주당 원내대표)'이라는 맹공을 이겨낼 뾰족한 수가 없기 때문이다. 문제는 뉴타운 이후다. 뉴타운은 애초에 기존 시가지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고안된 정비사업이다. 특히 서울 강남ㆍ북 간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한 선택이었다는 게 뉴타운을 만들어 낸 서울시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실제로 뉴타운 대부분이 강북권에 몰려 있다. 만일 뉴타운이 사라지고 광역계획 없이 각 정비구역 별 각개전투식 재개발이 진행되면 가뜩이나 벌어진 강남ㆍ북 간 집값 차이를 좁힐 길이 영영 사라질 수도 있다. 단지 내 번듯한 학교와 녹지공간ㆍ도로 등이 마련된 5,000가구 이상 대규모 강남 아파트를 강북 아파트가 따라잡기는 어려울 것이다. 물론 뉴타운이 마구잡이로 지정되면서 집값이 뛰고 원주민이 떠밀려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것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그러나 재개발사(史)에서 뉴타운을 삭제한다고 해서 기왕의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강북권 노후 주거지는 언젠가는 재개발을 할 수밖에 없다. 그 때 뉴타운을 포기한 책임은 누구에게 물을 것인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