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사스관리 곳곳허점 시민들 불안감 고조

국내에서도 사스(SARSㆍ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의심환자가 계속 늘고 있지만 정부의 위기대응체제가 허술해 시민들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 사스 전담병원 지정이 인근 주민들의 반발로 차질을 빚는가 하면 사스 위험지역 분류에 대한 보건당국간 기준이 서로 달라 혈액 안전관리에 혼선이 빚어지기도 했다. ◇전담병원 지정 차질=서울시는 병상이 많이 비어 있던 D시립병원을 사스 전담진료병원으로 지정한다는 방침 아래 입원환자 50여명을 다른 병원으로 분산 이송시키려다 지역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혀 계획을 유보했다. 주민들은 병원측이 지난 24일 오후부터 “학교 옆에 사스병원이 웬 말이냐, 지정병원 철회하라”고 외치며 병원 앞 도로를 점거, 입원환자의 이송을 막고 초등학교 자녀를 등교시키지 않는 등 항의시위를 벌였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의 한 관계자는 “주민들의 님비현상도 문제지만 전담병원 지정과 같은 기본적인 위기대응체제를 갖추지 못하고 국민들에게 방역체계에 대한 신뢰감을 심어주지 못한 정부의 잘못이 더 크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서울시의 입장번복을 곤혹스러워하면서도 국공립병원을 사스환자 격리병원(현 13개, 병상 26개)으로 추가 지정하는 한편 군(軍)병원을 전담병원으로 지정하는 방안 등도 검토 중이다. 국립보건원은 최근 중국 등 위험지역으로부터의 입국자 및 의심환자가 크게 늘자 비상사태에 대비, 200개 정도의 격리병상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보건복지부ㆍ국립보건원 엇박자=복지부는 최근 헌혈된 혈액을 통해 사스를 일으키는 변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전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사스 위험지역(중국 베이징ㆍ광둥성ㆍ산시성, 홍콩, 내몽골, 타이완, 싱가포르, 베트남 하노이, 캐나다 토론토, 미국, 영국 런던 등)에서 온 입국자의 헌혈을 금지하는 지침을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에 내려보냈다. 그러나 앞서 보건원이 미국과 런던ㆍ타이완 등을 2차 전파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이유로 위험지역에서 제외하는 대신 중국은 전역을 위험지역으로 분류한 것과 달라 혼선이 생기자 뒤늦게 지침을 수정했다. 결국 헌혈하기 2주 안에 WHO와 보건원이 분류한 위험지역을 다녀온 사람으로부터의 헌혈을 금지한다는 지침을 다시 내려보냈다. ◇강제격리조치 법적 근거 미비=강제 격리시킬 필요가 있는 의심환자를 강제 격리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다는 점도 사스 관리 및 대응체계의 걸림돌로 지적됐다. 현행 전염병예방법에는 콜레라ㆍ페스트 등 1종 전염병에만 강제격리조치를 취할 수 있다. 폐렴 또는 호흡곤란증상을 보이지 않은 사스 의심환자를 퇴원시킨 뒤 2차 전파를 막기 위해 자택격리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당사자의 양심에만 맡기고 있는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사스 의심환자 급증=국립보건원은 사스 의심사례 4건이 24일 신고됐으며 이중 중국 베이징과 상하이에서 입국한 20대 남녀 각 1명이 의심환자로 분류됐다고 25일 밝혔다. 이에 따라 국내의 누적 의심환자 수는 10명으로 늘었다. 의심환자로 새로 분류된 2명은 흉부 X레이 촬영 결과 폐렴증세가 없지만 남자의 경우 호흡곤란증세를 보여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다. 한편 보건원 사스자문위원회는 보다 과학적인 방역대책 마련 및 진단을 위해 산하에 역학조사ㆍ임상ㆍ실험실분석 등 3개 분과를 두기로 했다. <임웅재기자, 김성수기자 jaelim@sed.co.kr>

관련기사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