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여권, 권력지형 대대적 변화 조짐

당 MB 직할체제…관리형 대표로 갈 가능성<br>계파 50여명 확보, 박근혜도 권력한축으로<br>이상득·정두언 운신폭 축소…홍준표등 부상 점쳐

청와대와 내각의 대대적인 인적쇄신이 예상되면서 여권 내 권력지형에 적지 않은 변화 조짐이 보이고 있다. 10일 정치권에서는 청와대 ‘왕(王) 비서관’으로 불리며 권력 핵심 실세로 자리매김해온 박영준 청와대 기획조정비서관의 전날 전격사퇴가 고강도 인적쇄신의 신호탄을 쏘아올린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됐다. 특히 류유익 대통령실장을 포함한 청와대 참모진이 이미 일괄사의를 표명해 대폭적인 교체가 예고된 데 이어 내각도 이날 일괄사의를 밝혀 이명박 대통령이 특단의 민심수습책으로 ‘조각(組閣)’ 수준의 고강도 인적쇄신을 단행할 것이라는 얘기가 끊임없이 흘러나오고 있다. 무엇보다 그동안 여권 내 권력의 핵심축을 차지했던 이재오 전 최고위원이 지난 4ㆍ9총선 낙선 후 미국으로 떠나 일단 한발 비켜서 있는 상태이고 이번 권력다툼의 당사자인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과 정두언 의원의 경우 이번 사태로 운식이 폭이 좁아졌다는 것이다. ◇정두언 VS 이상득 승자는 누구=이번 사태로 대대적인 인사쇄신이 예고되면서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은 정 의원과 이 전 부의장의 득실이다. 정 의원은 이번 파동으로 일단 소기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청와대 권부의 문제점을 공론화하는 데 성공한데다 박 비서관 경질을 관철시켰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 전 부의장이 ‘국정개입’ 사실관계를 떠나 앞으로 정치 행보에서 일정 정도 제약을 받게 됐다. 특히 정 의원은 이번 사태 과정에서 자신의 주장에 동조하고 있는 의원들의 상당수가 지난 총선 공천에서 이 전 부의장의 불출마를 촉구한 ‘55인 선상반란’에 가담했던 수도권 소장파들의 지지를 이끌어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 의원 역시 정치적 부담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의 핵심측근으로서 자칫 ‘사욕’을 앞세워 ‘주군’에 반기를 들었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 ◇이 대통령 직할체계 가능성=이 대통령이 정권출범의 일등공신을 제외하고 직할체제로 가지 않겠냐는 관측이 만만치 않다. 그 출발점은 관리형 대표로 유력하게 검토되는 박희태 전 부의장이 차기 당권을 잡고 사실상 이 대통령의 정치특보 역할을 담당하며 당 대표 이상의 역할을 하지 않겠냐는 관측이다. 여기에 홍준표 원내대표-임태희 정책위의장-주호영 원내수석부대표 등 친(親)이명박 측 신주류로 부상한 트로이카의 역할이 더욱 커질 가능성이 높다. 이미 이번 쇠고기 파동의 수습 과정에서 홍 원내대표의 돌파력과 임 정책위의장의 역할이 적지 않았다는 평가가 많다. 당내 주류 측 한 의원은 “이 대통령이 앞으로 직할체제로 가지 않겠느냐”고 전망했다. 특히 박 전 부의장이 이 전 부의장이나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등 원로그룹과 가까운 사이로 이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적지 않은 조언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이 전 부의장과 최 위원장은 전날 아침 청와대 안가(安家)에서 이 대통령과 조찬을 함께 하며 시국 수습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근혜 전 대표 또 다른 권력의 한 축=무엇보다 이번 여당의 권력지형 변화 조짐에 박 전 대표가 또 다른 국정의 한 축이 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다. 최근에 다시 ‘박근혜 총리설’이 돌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여기에 친박 탈당 인사들의 복당이 시작되면서 50여명 달하는 친박계 의원들이 든든한 지지기반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