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기고/7월 21일] '독도 문화영토'

또다시 일본의 독도 침탈행위로 온 국민이 분노하고 있다. 정부도 일본대사를 소환하고 정치권에서는 독도특별법을 만들겠다고 한다. 시민단체들도 한목소리로 일본의 독도 침탈행위를 규탄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우리 고유의 영토인 독도를 자기네 영토라고 생떼를 쓰더니 마침내 교과서 해설서에 독도를 일본 영토라고 가르치도록 명시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그리고 한발 더 나가 왜곡된 학습지도 요령이 적용되는 오는 2012년까지 기다리지 않고 다음해부터 바로 독도 침탈수업을 강행하겠다며 이내 검은 속내를 드러냈다. 국제사회에서 지도적 위치에 서겠다고 구상하는 나라치고는 볼썽사납고 파렴치하다. 많은 전문가들은 일본의 독도 침탈행위는 계획된 수순에 따라 진행되고 있다고 말한다. 이에 따라 우리도 대응방안을 다각도로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얼마 전 일본은 독도의 해저 지명을 일본 지명으로 바꾸려는 얄팍한 짓을 하다가 들통 난 적이 있다.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독도 바다 밑 우리 땅들에 온통 일본 지명을 붙이고 있었던 것이다. 그들의 음모대로 진행됐다면 몇 백년이 흐른 어느 날 일본은 ‘독도는 오래전부터 다케시마로 불렸던 일본 땅이며 독도와 인근 해저 지명 모두가 일본 지명으로 돼 있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고 주장할지 모른다. 가상이기는 하지만 소름 돋을 만큼 섬뜩한 일이다. 일본은 독도를 침탈하기 위해 앞으로도 끊임없이 도발할 것이다. 여러 정황을 살펴보면 먼 미래에도 그럴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역사적으로나 국제법상으로나 명백한 우리 영토인 독도를 지키는 일에 우리는 한순간도 방심하면 안 된다. 일본이 도발해올 때마다 대응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국제법에 따른 실질적 점유를 유지하고 일본이 저지를 수 있는 모든 일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를 마련하는 등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그 대안이 바로 문화적 대응이다. 문화는 그 생명력이 길 뿐 아니라 국가 간 경계는 물론 시공과 인종을 뛰어넘는 공감대 형성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특히 영화ㆍ드라마ㆍ음반ㆍ게임 같은 문화 콘텐츠 분야는 대중성을 기반으로 해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 오늘날 국제사회에서는 국가 간 영토 경계뿐만 아니라 ‘문화영토(cultural territory)’ 또한 중요시되고 있다. 한 국가가 국경선을 경계로 배타적으로 지배할 수 있는 지역을 ‘정치영토’라 한다면 ‘문화영토’란 세계문화 속에서 한 민족이나 국가가 차지하는 문화적 비중이라 할 수 있다. 문화영토가 한 민족이나 국가에 속한 문화들이 전파돼 차지한 영역이라 한다면 우리는 독도의 문화영토를 구축하고 확장해가야 한다. 우선 독도와 관련된 각종 문화활동이 꽃펴야 할 것이다. 독도를 소재로 한 문학ㆍ미술ㆍ서예ㆍ공연 등 창작활동이 일부 펼쳐지고 있기는 하나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성화되고 또 널리 퍼져야 한다. ‘독도 문화관’ 같은 전용공간도 마련되면 더욱 좋을 것이다. 일본의 독도 침탈행위는 우리 시대에 국한돼 끝날 일이 아니다. 먼 미래에까지도 치밀하게 계속될 것이다. 우리 또한 오늘부터 먼 미래까지 또 각 부문별로 지혜롭게 대비해야 할 것이다. 문화 또한 그렇다. 독도를 문화로 지키는 방안이 적극 모색 되기를 기대해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