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내 제조업 임금지수 선진국의 2~3배

국내 제조업 임금지수 선진국의 2~3배95년 100기준 작년 131.3… OECD 주요국보다 높아 국내 제조업의 임금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주요 국가들보다 적어도 2~3배 이상 높아 물가위협과 경쟁력 약화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통계청이 3일 내놓은 「제조업 임금지수 국제비교」에 따르면 지난 95년(100)을 기준으로 했을 때 한국의 제조업 임금지수는 지난해 131.3에 달해 4년 동안 31.3%의 임금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미국·영국·일본·캐나다·스웨덴·네덜란드 등 OECD 주요국들은 지난해 제조업 임금지수가 106∼118에 그쳐 우리나라의 임금상승률이 적어도 이들 국가보다 2∼3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의 제조업 임금지수는 96년 112.2, 97년 118로 높아졌다가 외환위기 여파로 임금삭감 등을 겪은 98년에 114.3으로 떨어졌으나 지난해 다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올해 들어서도 1월 132.0, 2월 143.7, 3월 123.9, 4월 136.6으로 높은 임금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미국의 경우 99년 112.0로 95년 이후 12% 상승하는 데 그쳤으며 올들어서도 4월 현재 116.0에 머물고 있다. 일본의 제조업 임금지수는 99년 106.0, 올 4월 109.0로 임금이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캐나다는 99년 106.4, 올 4월 110.2, 영국은 99년 118.0, 올 4월 122.0를 나타냈다. 스웨덴은 99년 117.0, 올 3월 119.0, 네덜란드는 111.5, 113.6으로 95년 이후 연평균 3∼4% 정도의 임금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이탈리아는 112.3, 오스트리아는 111.0, 대만은 115.8로 모두 우리나라보다 임금상승률이 낮았다. 구동본기자DBKOO@SED.CO.KR 입력시간 2000/08/03 19:31 ◀ 이전화면

관련기사



구동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