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노동 주력 나이 30대서 40대로 이동

저출산·고령화 현상 탓… 50대이상 취업자 비중 27%로 상승

저출산.고령화 현상으로 한국 노동력의 주력이 30대에서 40대로 바뀌었다. 18일 통계청의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 3월 현재 전체 취업자 2천284만8천명가운데 40∼49세는 635만8천명으로 27.8%를 차지해 각 연령대별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냈다. 또 30∼39세는 612만2천명으로 26.8%를 차지했다. 30대와 40대의 비중을 비교해 보면 3월 기준으로 2000년에는 30대가 29.4%로 40대의 24.7%보다 훨씬 높았다. 그러나 30대와 40대의 격차는 ▲2001년 29.0%, 25.8% ▲2002년 28.3%, 26.4% ▲2003년 28.4%, 27.3% 등으로 갈수록 좁혀졌다. 이어 ▲2004년에는 27.8%, 27.5% ▲2005년에는 27.1%, 27.6%로 비슷한 수준을 보이다 올해에는 40대가 우세를 굳혔다. 또 50대 이상 취업자의 비중은 지난 3월에 26.8%로 작년 같은 달의 25.5%보다 1.3%포인트가 올라갔다. 3월 기준으로, 지난 2000년에 22.7%였던 50대 이상의 취업자 비중은 2001년 22.6%, 2002.2003년 각 23.3% 등을 나타내다 2004년 24.5%로 올라갔고 작년과 올해에는더욱 가파르게 상승했다. 반면, 20대 취업자의 비중은 2005년 18.8%에서 올해에는 17.7%로 떨어졌다. 20대 비중은 2000년에 21.4%에 이르렀으나 2001년 20.9%, 2002년 20.5%, 2003년19.9%, 2004년 19.3% 등으로 계속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15∼19세 취업자의 비중은 지난 3월에 0.9%로 1년전의 1.0%에 비해 낮아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