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박치기왕' 김일씨 별세


지난 60∼70년대 국내 프로레슬링계를 풍미했던 ‘박치기 왕’ 김일씨가 26일 노원구 하계동 을지병원에서 지병으로 별세했다. 향년 77세. 주치의인 최재웅 을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는 “평소 당뇨합병증과 고혈압ㆍ심부전 등의 지병을 앓아온 김씨가 이날 낮12시17분에 사망했다”고 밝혔다. 김씨의 최종 사망원인은 만성신부전증과 신장혈관 이상으로 인한 심장마비. 하루 전날 급격히 혈압이 낮아지면서 의식을 잃은 김씨는 중환자실로 옮겨진 뒤 심폐소생술과 혈압을 높이는 치료 등을 받았으나 끝내 숨을 거뒀다. 아들 김수안(56)씨와 첫째딸 애자(61)씨, 둘째딸 순희(59)씨 등 친인척과 제자 이왕표 한국프로레슬링연맹 회장 등 지인 30여명이 그의 임종을 지켜봤다. 이 프로레슬링연맹 회장은 “선생님은 얼마 전만 해도 출판기념회를 열 것이라며 좋아하셨는데 이렇게 갑자기 떠나시게 돼 너무 안타깝다”면서 눈물을 흘렸다. 57년 역도산체육관에 입문하며 레슬링을 시작한 김씨는 63년 세계헤비급 챔피언에 오르는 등 당시 프로레슬링계를 주름잡았던 국민적 영웅. 특유의 박치기 기술로 상대를 제압할 때면 전국민이 열광적인 응원을 보내면서 당시 시름을 덜어내기도 했다. 고 장영철ㆍ천규덕 등 한국 프로레슬링 1세대와 함께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다 70년대 중반 현역에서 물러난 김씨는 일본에서 다양한 사업을 벌였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이후 경기 후유증으로 지병까지 생기면서 외로운 투병 생활을 감내해야 했다. 그러던 중 김씨의 팬이었던 박준영 을지병원 이사장의 권유로 94년 1월 귀국해 10여년간 을지병원에서 입원해 치료를 받아왔다. 병원에서 지속적인 치료를 받으며 한때 건강이 호전돼 후배 양성과 프로레슬링재건사업 등에 의욕을 보이기도 했지만 지난해 결장 제거수술 이후 인공항문에 의지해야 했다. 최근에는 만성신부전증까지 겹쳐 신장투석을 받는 등 급속도로 건강이 악화했고 결국 이날 세상을 떠났다. 김씨의 빈소는 을지병원 장례식장 지하1층 특실에 마련됐고 28일 오후 경기도 벽제에서 화장을 한 뒤 유골은 고향 전남에 안치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박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