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심한 주간 졸음증 원인 규명

"뇌활동 지도 밝혀내 '기면증' 치료제 개발 도움"<br>삼성서울병원 홍승봉 교수팀

국내 대학병원 의료진이 낮에 심하게 졸음을 보이는 난치성 수면장애인 ‘기면증’의 원인을 밝힐 수 있는 뇌활동 지도를 세계 처음 밝혀냈다. 성대의대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홍승봉 교수와 주은연 전임의팀은 최근 “PET를 이용해 기면증 환자와 정상인의 뇌활동을 비교한 결과 뇌 특정 부위에서 포도당 대사가 현저히 저하됐다는 내용을 세계적인 임상신경학 학술지 ‘Annals of Neurology’ 최근호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홍 교수팀은 사람의 뇌가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는 점에 착안해 FDG-PET를 이용, 정상인 24명과 기면증 환자 24명의 뇌활동을 비교 분석한 결과 기면증 환자군은 시상하부, 시상, 전두엽 및 두정엽 부위에서 포도당대사가 정상인에 비해 현저히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이는 그 동안 동물실험을 통해 시상하부내 히포크레틴(Hypocretin)이라는 각성 호르몬의 결핍이 기면증의 원인일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인체를 대상으로 한 PET 검사를 통해 확인한 것. 여기에다 시상과 전두엽, 두정엽에도 문제가 있다는 것을 추가로 밝혀낸 것이다. 홍승봉 교수는 “아직까지 기면증을 질병으로 보기 보다는 단순히 잠이 많은 사람으로 가볍게 여기는 경향이 많았는데 이번 연구결과 뇌의 기질적 문제에 의한 질병임이 밝혀졌다”면서 “앞으로 치료제를 개발하는데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