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인삼성분이 협심증, 심근경색 예방’ 동물실험 입증돼

인삼성분이 협심증 등의 심장질환을 예방해준다는 국내연구팀의 동물실험결과가 나왔다. 전북대학교 수의학과 김종훈 교수팀은 인삼에 들어 있는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협심증과 심근경색을 예방하는 효과를 동물실험을 통해 처음으로 증명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와 관련한 논문은 유럽약학저널 등 10여편의 국제학술지에 투고 또는 게재됐으며, 관련 특허도 출원됐다.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총 60마리의 쥐를 12마리씩 5개 그룹으로 나눠 4개 그룹에 인삼사포닌을 다른 용량으로 투여한 다음 심근경색을 유발시켜 심장의 기능 및 심근경색 억제와 관련된 여러 지표를 측정했다. 연구결과 인삼사포닌을 투여한 쥐의 심장박출량은 투여하지 않은 군에 비해 18%가량 증가했다. 또한 쥐의 심장괴사인자인 'TNF-α' 및 'P38' 단백질의 함량과 심근세포에 대한 조사에서도 사포닌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각각 42.7%, 23.8%의 괴사인자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사포닌 성분은 협심증에도 예방효과를 나타냈다. 돼지 7마리에 일정량의 인삼사포닌을 먹인 다음 관상동맥 수축을 유발하면서 수축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인삼사포닌을 먹인 돼지는 심장세포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의 수축이 아무것도 먹이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20%가량 억제됐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협심증은 심장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막히는 증상으로, 미리 예방하거나 치료하지 않으면 심근경색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김 교수는 "인삼사포닌 성분이 산소공급 부족으로 세포가 죽거나 심장혈관이 수축하는 것을 억제해 협심증과 심근경색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동물실험을 통해 처음으로 규명한 데 의미가 있다"면서 "추후 인삼성분을 이용한 협심증 및 심근경색 예방 약물의 개발 가능성도 앞당겼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