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감산은 미봉책 불과…美·유럽처럼 "우리도…"

내년엔 훨씬 더 혹독한 구조조정 기다릴지도<br>경차 자동차세 인하·공채매입 폐지등 서둘러<br>내수판매 진작통해 최악의 상황만은 피해가야



“내년에는 감산을 넘어 더욱 혹독한 구조조정이 기다리고 있을지 모른다.” 자동차업계에 부는 감산 바람은 ‘이제 시작’이라는 점이 더욱 심각한 문제다. 갈수록 가파른 내리막을 걷고 있는 내수 및 수출실적이 개선되지 않는다며 감산에 이은 가동중단ㆍ인력감축 등 보다 강도 높은 대책이 꼬리를 물고 나올 수 있다는 우려다. 자동차업계가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있는 것도 이 같은 이유다. 일단 내수판매를 진작시켜 최악의 상황은 피해가야 할 만큼 세계 자동차 시장의 전망은 불투명하다. ◇자동차업계 ‘감산 또 감산’=금융위기에 따른 소비위축으로 가장 큰 타격을 입고 있는 업종이 바로 자동차다. 목돈이 들기 때문이다. 결국 안 팔리는 차들이 재고로 쌓이면서 전세계 완성차 업체들이 우선 급한 불부터 끄자는 심정으로 감산을 선택했다. 국내 자동차 시장도 예외일 수 없다. 노조의 파업 여파에서 벗어나 정상적인 생산을 했어도 지난 10월 내수판매가 전년동월 대비 0.1%, 수출도 4.5% 줄어들더니 11월 들어서는 판매량이 급전직하하는 추세다. 업계에 따르면 내수판매량은 전월 대비 30% 안팎까지 떨어진 것으로 추산된다. 해외시장에서도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미국 및 유럽 등 선진시장의 침체와 신흥시장에서의 고전으로 주문량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국내 완성차 업체들도 국내외 시장에서 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생산량을 조절할 수밖에 없는 처지다. GM대우는 공장 가동 중단으로 올해 말까지 약 3만3,000대를 감산할 계획이며 같은 방식으로 생산량을 조절할 계획을 세운 쌍용차는 공장 가동을 일시 중단할 경우 4,000여대를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현대ㆍ기아차의 경우 잔업 및 특근을 없애 연말까지 생산량을 2만5,000여대까지 줄일 것으로 보이며 시간당 생산대수 축소를 검토 중인 르노삼성 역시 2,000~3,000대가량 생산량을 조절할 방침이다. ◇세계 각국 ‘파국은 막자’=이 같은 자동차업계의 감산 움직임은 현재의 시장 상황에서는 미봉책에 불과해 경영악화에 따른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단행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미국과 유럽처럼 정부 당국이 자동차 소비 진작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빅3’의 파산 위기를 맞은 미국은 250억달러의 추가 구제금융을 놓고 고심하고 있으며 이밖에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수립 중이다. 경기부양책은 내수진작에 초점을 맞춘 것인 만큼 자동차 판매 촉진에도 기여하게 된다. 안수웅 LIG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미국의 경기부양을 위한 구제금융은 미국 자동차시장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유럽에서도 유럽연합(EU)이 “미국이 자동차산업을 보호할 경우 우리도 지원책을 내놓을 것”이라고 선언하는 등 자금지원 및 소비진작에 나설 태세다. 이에 앞서 유럽 자동차업계는 EU에 400억유로의 저리 융자와 중고차 폐차에 따른 인센티브를 요구했다. 특히 독일의 자동차업계에서는 폭스바겐ㆍ다임러ㆍBMW 등이 독일 정부에 자동차금융 부문에 대한 대출보증과 새차 구입 보너스 지급을 요청하는 등 상황이 심각하게 돌아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는 내수판매 지원책 시급=국내 자동차업계는 내수판매 진작을 위한 정부 지원을 기대하고 있다. 최근 한국자동차공업협회가 업계의 의견을 수렴해 마련한 ▦할부금융 유동성 지원 ▦경승용차 자동차세 인하 ▦자동차 공채 매입 폐지 등의 대정부 건의안은 모두 국내 소비자들이 신차 구입에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내수판매량 증대가 시급한데다 정부 지원으로 가장 효과를 볼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 당국도 국내 자동차산업의 현실과 중요성에 공감하고 있기 때문에 정책적 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우리나라 정부의 자동차산업 지원책 역시 미국 정부가 ‘빅3’ 지원에 나선 후 시행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미국에 이어 유럽 등 선진시장이 먼저 자국의 자동차산업 구제에 나설 경우 ‘보호주의’라는 시비 없이 대책을 시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당국의 한 관계자도 “자동차업계에서 요구하는 것들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그러나 미국 정부의 움직임 등 각국의 추이를 살핀 후 결정될 사안”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