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광장 개장과 교통체계 개편에 따른 상권변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울시청 주변 소공지하상가와 새서울지하상가가 단일 업종에 특화된 ‘테마상가’로 거듭나는 방안이 추진된다.
10일 서울시와 산하 시설관리공단에 따르면 공단은 새서울과 소공상가의 경영난을 해소하기 위해 1~2개 업종에 집중하는 테마상가로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조만간 연구용역을 실시하는 한편 업종 변경을 희망하는 업체들의 신청을 접수할 계획이다.
공단의 한 관계자는 “서울광장 인근의 횡단보도 설치에 따른 유동인구 감소로 어려움에 처한 두 상가가 살아나기 위해서는 업종 단일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가 급선무”라며 “안경업으로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한 남대문지하상가처럼 특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공단은 점포주와의 협의를 거쳐 이달 하순께 ‘상가활성화 종합방안’을 확정하고 본격 시행할 예정이다. 공단 관계자는 “상가에서 1~2개 주업종을 선정해 지원을 요청하면 다양한 혜택을 주는 것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소공상가의 경우 주변의 롯데호텔ㆍ프레지던트호텔 등을 이용하는 외국관광객이 많은 점을 감안해 인삼이나 도자기 등 특산품을 판매하는 업종으로 특화시키고 새서울상가는 사무기기 중심에서 광장 조성 등으로 바뀐 영업환경에 적합한 업종으로의 전환이 추진되고 있다. 또 상가 통로에서 작은 음악회나 전시회를 개최해 통행시민에게 볼거리를 제공, 유동인구 증가를 꾀하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새서울상가에서 사무기기 점포를 운영하는 김모(53)씨는 “뭔가 변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는 데 위기의식이 팽배한 게 사실”이지만 “변화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지울 수 없다”고 말했다.
새서울ㆍ소공지하상가는 지난 5월 서울광장 개장과 함께 횡단보도가 설치되면서 상가를 찾는 손님이 급격히 줄어 매출이 이전보다 절반 이하 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공단은 상가의 이 같은 사정을 고려해 최근 임대료를 갱신하면서 지난해보다 21%나 깎아줬다.
공단 관계자는 “상가활성화 방안이 본격 추진될 경우 상권변화라는 위기를 오히려 기회로 바꾸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업종전환에 불안해하는 점포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서울광장과 맞닿아 있는 새서울상가에는 사무기기ㆍ의류ㆍ액세서리 등 48개 점포, 소공상가에는 의류ㆍ토산품ㆍ가방 등 154개 점포 등 두 상가에 모두 202개 점포가 영업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