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휴대폰 중독증, 불안·자기비하등 일으킨다"

■ 호주 연구진 "전화·문자메시지 오지 않으면 자존심에 상처…"

사람들 가운데 일부는 휴대폰에 중독돼 알코올이나 마약 등 물질을 남용했을 때 생기는 것과 유사한 불안, 자존심문제 등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고 호주의 한 학자가 4일 주장했다. 호주 언론들에 따르면 퀸즐랜드 테크놀로지 대학 광고, 마케팅, PR 학과의 다이애나 제임스 교수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17세에서 52세 사이의 퀸즐랜드 주민 80명을 집중적으로 조사한 결과 그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제임스 교수는 조사 대상자들 가운데 일부는 휴대폰에 중독돼 그것이 곁에 없으면 불안해했다면서 휴대폰이 어느덧 사람들의 사회생활에서 '엄청나게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휴대폰 사용자들은 강제로 그것을 꺼놓게 하면 동요를 보이고, 전화가 걸려 오지 않거나 문자 메시지가 오지 않으면 자존심에 상처를 받는 등 갖가지 개인적인 문제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그는 "알코올이나 마약에서 나타나는 물질 남용의 경우처럼 휴대폰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사람들은 갖가지 개인적인 문제로 고통을 받는다"면서 "휴대폰이라는 게 사람들에게 쉽게 즐거움을 안겨주는 물건이기 때문에 사용하는 사람들이 조심하지 않으면 담배나 군것질을 끊지 못하는 것처럼 중독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그런 사람들은 휴대폰이 없으면 고립감을 느끼게 된다"면서 "일부는 전화가 걸려오지 않거나 텍스트 메시지를 받지 못하면 불안과 자기비하 등 금단 증상까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밤중에 텍스트 메시지를 보내느라 수면 부족과 손가락 통증 따위를호소하는 경우도 있었고, 대학 강의실에서 휴대폰을 꺼놓으라고 학생들에게 지시했을 때 심지어 두려움에 휩싸이는 이들도 있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