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1월 18일] 기아차 노조는 '파업만능' 벗어나야

기아자동차 노조가 임금협상에서 무리한 요구조건을 내걸고 파업을 강행해 노사관계 선진화에 역행하는 '파업만능주의'라는 비난을 사고 있다. 지난해 5월 임금협상을 시작한 기아차 노사는 해를 넘겨 8개월째 협상을 벌여왔으나 끝내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결렬됨에 따라 지난주 부분파업에 들어간 데 이어 이번주부터 전공정에 걸쳐 파업수위를 높여 본격적인 파업을 벌일 예정으로 알려졌다. 기아차 노사가 이처럼 임금협상에서 난항을 겪는 것은 노조가 경영성과와는 별도로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매출규모 및 영업이익 등에서 두 배 이상 차이가 나는 현대차와 동일한 대우를 해달라고 주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차 노조의 경우 지난해 15년 만에 무분규를 기록한 것과 달리 기아차 노조는 지난해 무려 11차례에 걸친 파업으로 생산차질만도 4만8,000대, 금액으로는 8,600억원에 이른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그럼에도 회사 측은 지난해 말 임금교섭에서 300%에다 460만원을 추가 지급하는 역대 최대 규모의 성과급 지급을 제안하는 등 성의를 보였으나 노조의 거부로 임금협상이 실패했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매출과 이익이 현대차의 절반도 안 되는데다 연중 내내 파업을 벌여 회사에 막대한 손실을 입힌 기아차 노조가 현대차와 동일한 대우를 요구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 회사 측 입장인 셈이다. 근로자의 임금수준은 기업실적에 따라 결정된다. 이익이 많이 나는 기업과 적은 기업, 노사관계가 좋은 기업과 나쁜 기업이 같은 임금ㆍ대우를 받는 것은 불합리할 뿐더러 현실적으로도 불가능하다. 기아차 노조는 지금이라도 파업을 철회하고 임금협상에 성실히 임해야 한다. 만약 기아차 노조가 무리한 요구를 내걸고 파업을 강행할 경우 20년 연속 파업이라는 불명예는 물론 파업손실만도 연간 영업이익과 맞먹는 1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추산이 나온다. 이렇게 기업이 타격을 받을수록 기업 이미지 악화와 함께 경쟁력이 떨어지고 임금지불 능력도 약화될 수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결국 근로자도 피해자가 된다. 협력과 상생의 노사관계가 기업과 근로자 모두에 이익을 가져다 준다는 것은 지난해 현대차의 무분규 경험이 생생하게 보여준다. 기아차 노조는 이제라도 파업만능에서 벗어나 합리적인 선에서 임금협상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협력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