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상폐실질심사 도입 후 코스닥 상장폐지 줄어

상장폐지실질심사가 도입 된 후 상장폐지 기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상장폐지실질심사를 거쳐 상폐된 코스닥기업은 14개사로 나타났다. 상장폐지실질심사 제도는 증시에 상장된 기업이 자본완전잠식, 감사의견거절 등 형식상 상장폐지사유가 아니면 심사를 통해 상장폐지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다. 이 제도가 도입된 첫 해 상폐된 기업은 16개사에 달했었다.

관련기사



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009년 이후 상장폐지실질심사를 받은 184개 기업가운데 77개사가 상장을 유지해 상장폐지(73개사)된 업체보다 많았다.

상장폐지실질심사를 받은 사유로는 횡령ㆍ배임(77개사)로 가장 많았고 회계처리기준위반(34개)도 뒤를 이었다. 또 사업보고서 제출 전 유상증자로 상장폐지요건을 회피하려 자구이행(24개사)를 한 기업도 상장폐지실질심사의 주요대상에 이름을 올렸다.

거래소 관계자는 “상장폐지실질심사 도입으로 부실기업을 걸러내고 상장유지 가능성이 있는 기업에게는 개선 기간을 부여해 코스닥시장의 건전성을 살렸다”며 “꾸준한 제도개선으로 코스닥시장의 신뢰도와 투명성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