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강남 재건축 호가 수천만원 급락

'3·30' 이전보다 최고 8,000만원 싼 급매물도


강남 재건축 호가 수천만원 급락 '3·30' 이전보다 최고 8,000만원 싼 급매물도 정두환기자 dhchung@sed.co.kr 관련기사 • 재건축 개발부담금 선납하면 인센티브 강남권 재건축 추진단지 가격이 불과 일주일새 호가가 수천만원 떨어지는 등 정부의 개발부담금 효과가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6일 일선 부동산중개업계에 따르면 강남구 개포동, 송파구 가락동, 강동구 고덕동 일대 저층 재건축 추진 아파트들에서 정부의 3ㆍ30대책 이전에 비해 많게는 8,000만원씩 가격이 떨어진 급매물들이 속출하고 있다. 개포 주공1단지 17평형의 경우 최근 지난주보다 8,000만원이나 가격을 낮춘 급매물이 중개업소에 나오고 있다. 이 아파트 13평형 역시 이번주 들어 시세보다 4,000만~5,000만원 낮아진 가격의 매물이 등장하는 등 이 일대 재건축 단지들이 본격적인 가격하락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 지역 개포공인의 한 관계자는 “급매물을 내놓은 사람들은 대부분 다주택 보유자들”이라며 “정부의 제도 시행 전에 집을 급히 처분하려는 것 같다”고 말했다. 송파구 가락동 시영아파트도 평형에 따라 3,000만~5,000만원씩 내린 가격의 급매물이 나오면서 개발부담금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반면 정부 대책으로 추가 가격하락을 기대하는 매수자들이 대부분이어서 쉽게 거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개포동 N공인의 한 관계자는 “급매물이 나오고 있지만 여전히 매수희망가격과는 1억원 이상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고덕동 주공아파트는 아예 거래시장이 멈춰섰다. 이 일대 중개업소들은 정부의 세무조사를 피하기 위해 대부분 문을 닫아버린데다 매수ㆍ매도 모두 완전히 자취를 감춘 상태다. 하지만 간간이 시세보다 몇천만원씩 가격을 내린 매물들이 등장하며 약세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 현지 중개업소들의 설명이다. 하지만 일선 중개업계는 개발부담금 부과에도 불구하고 시장에 대거 매물이 쏟아져나올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정부가 지난 2004년 이후 조합원 지분에 대해 전매를 금지한데다 예외적으로 1회에 한해 전매가 가능한 물건(2004년 이전 조합원) 역시 이미 대부분 손바뀜이 일어난 상태여서 시장에 나올 수 있는 매물 자체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 지역 N공인 관계자는 “지금은 어떤 대책이 나와도 가격이 떨어질 수 없는 거래구조”라며 “정부가 재건축 아파트 값을 내리려면 거래제한조치부터 풀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6/04/06 17:2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