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공중에 정지하는 제트 전투기 F-35B

수직이착륙은 물론 공중 정지비행 가능<br> 이달 중 최종 시험비행 들어가


[서울경제 파퓰러사이언스] 수직이착륙은 물론 공중 정지비행이 가능한 제트 전투기 F-35B 라이트닝II가 이달 중 최종 시험비행에 들어간다. 이번 시험비행에서 수직이착륙과 공중 정지 기능에 문제가 없을 경우 미 국방부는 3,000억 달러를 투입, 오는 2012년부터 F-35B의 실전배치에 나설 계획이다. 길이 15.5m, 날개 폭 10.6m, 이륙중량 25톤인 F-35 라이트닝Ⅱ는 공군형인 F-35A, 해병대형인 F-35B, 그리고 해군형인 F-35C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F-35 시리즈는 F-22 랩터에 비해 성능이 다소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F-35B의 경우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STOVL(Short Take Off/Vertical Landing) 기종이라는 것이 최대 장점이다. 미 국방부는 F-35B 도입을 통해 노후화된 FA-18 호넷과 해리어II 전투기를 교체할 계획이다.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F-35B의 경우 경(輕)항공모함, 그리고 이보다 작은 함정의 함재기로 활용할 수 있어 대형 항공모함을 보유하기 어려운 국가들에게 매우 매력적인 기종으로 부각되고 있다. F-35B는 고출력을 필요로 하는 수직이착륙 및 공중정지(호버링) 비행을 위해 제트 전투기용 엔진으로는 최대인 추력 1만8,000kg을 내는 프랫 앤 휘트니사의 F135 터보팬 엔진을 장착하고 있다. F-35B의 수직이착륙은 조종석 뒤쪽에 배치된 리프트 팬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리프트 팬이 컴퓨터 정밀제어를 통해 차가운 공기를 아래로 내뿜고, 이와 동시에 기체 뒷부분에 있는 후방 배기노즐 역시 엔진 추력의 일부를 아래로 내뿜어 제트 전투기를 위로 띄운다. 리프트 팬의 경우 F-35B의 주익에서 충분한 양력이 발생되면 작동을 멈춘다. 양쪽 날개 하단에 붙어있는 롤 노즐은 엔진의 배기가스 중 일부를 공급받아 전투기가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균형을 잡아준다. 이 같은 롤 노즐의 구조는 뜨거운 배기가스가 리프트 팬으로 유입돼 엔진을 멈추게 하는 위험도 방지한다. F-35B는 기존 레이더 감시체계에서는 골프공 크기의 물체로 감지될 만큼 스텔스 성능이 우수하다. 이 같은 스텔스 성능을 위해 동체는 적의 레이더 전파를 반사시킬 수 있는 디자인이 채택됐으며, 미사일과 폭탄 등의 무기 역시 날개 밑이 아닌 동체 하단의 내부 무장창에 내장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