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李-朴 회동] 李대통령 국정운영에 부담될듯

朴전대표 발뗄경우 국정장악력 쇠퇴 불가피… 복당 조기 결론 여부가 여권 향배 좌우

이명박(오른쪽) 대통령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지난 10일 청와대에서 오찬회동을 갖고 대화를 나누고 있다. /손용석기자

[李-朴 회동] 李대통령 국정운영에 부담될듯 가시적 성과 없어 여당 결집력 약화 초래… 복당 조기 결론 여부가 여권 향배 좌우 이현호기자 hhlee@sed.co.kr 이명박(오른쪽) 대통령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지난 10일 청와대에서 오찬회동을 갖고 대화를 나누고 있다. /손용석기자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10일 박근혜 전 대표와의 회동에서 가시적 성과를 거두지 못함으로써 앞으로 정국 운영에 큰 부담을 안게 될 것으로 보인다. 두 사람의 만남에서 회동의 성패를 가늠할 친박(親박근혜) 인사들의 복당 문제에 대해 뚜렷한 해법을 찾지 못했다. 이에 따라 쇠고기 파문과 지지도 급락 등 집권 초기 최대 위기에 봉착한 이 대통령으로서는 당장 여당 내 결집력 약화를 초래해 국정 장악력이 급속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 특히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 대통령은 앞으로 국정운영에 한나라당의 총력지원을 기대하기 힘들 것으로 전망된다. 당장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한미FTA(자유무역협정)의 17대 국회 임기(오는 29일) 내 비준이 불투명하다. ◇이 대통령 국정운영 난맥 장기화 가능성=이 대통령이 박 전 대표와의 회동으로 오히려 부담만 잔뜩 짊어지게 됐다. 박 전 대표와의 국정 협력이 원활하지 못하면 18대 국회에서 과반수를 확보하기 어려워 국정 장악이 더욱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박 전 대표가 회동에서 이 대통령의 협력 당부에 "제가 판단해서 국가에 도움되는 일이라면 이 대통령이 말을 안 해도 옳은 길을 가는 사람"이라며 원칙론을 견지하며 사안에 따라 협력과 견제를 병행하는 독자노선을 분명히 했기 때문이다. 박 전 대표가 11일 호주 출국에 앞서 친박 복당 문제를 언급, "5월 말까지는 가부간 결정 나야 한다"고 주장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면서 운신의 폭도 줄어들었다. 이 대통령으로서는 사실상 '당내 야당' 격인 친박 세력과 불편한 관계가 지속된다며 장기간 험난한 파고를 건너야 하는 어려움에 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청와대 일각에서는 "이 대통령의 실용적 사고에 비춰 비록 이 대통령이 친박 인사들의 일괄 복당에 회의적 시각을 내비쳤지만 적절한 상황 속에서 양보할 수 있는 퇴로는 열어놓았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청와대가 박 전 대표와의 협의 채널은 열어 놓고 박 전 대표가 호주 방문을 마치고 돌아오면 물밑협상에 나설 것이라는 예측이다. ◇복당 조기결론 여부 여권 향배 좌우=박 전 대표의 행보는 복당 문제의 조기결론이 어떤 식으로 나느냐에 달렸다. 친박 탈당인사의 복당 문제를 비롯해 정치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묘수로 여겨졌던 '단독 회동' 카드가 큰 성과를 얻지 못하면서 박 전 대표의 선택 폭도 좁아진 형국이기 때문이다. 박 전 대표 측근들도 "박 전 대표가 당분간 상황을 지켜볼 것 같다"고 예상했다. 이에 따라 범여권 위기 수습은 결국 청와대에서 공을 넘겨받은 당 지도부에게 넘어갔다.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가 복당 문제와 관련, 7월 전당대회 이전에 해결한다는 것에 공감대를 형성한 만큼 최고위원회의에서 다시 논의될 수밖에 없다. 더욱이 박 전 대표가 "무한정 기다릴 수 없다"는 입장을 이미 분명히 밝혔기 때문이다. 친박 측 핵심 관계자는 "100% 만족할 수 있는 회동은 아니지만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며 "복당 문제만 보면 양측에 상당한 의견 접근이 있었다는 평가도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물론 복당 문제에 대해 당 지도부가 박 전 대표가 주장해온 '일괄 복당' 원칙을 그대로 수용할 경우 급격한 화해무드가 조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당 지도부가 명시적 결론을 내지 못하는 현 상황이 계속되면 박 전 대표로서도 단호한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높다. 당 밖의 친박 세력을 규합, 별도의 교섭단체를 구성하도록 하는 동시에 본인은 당 내에 남아 당 내 투쟁을 전개하는 수순을 택해 정치적 입지를 공고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측근은 "만약 상황 진전이 없으면 더 어려운 국면으로 가는 것"이라며 탈당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