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소재 기업 지식재산권 보호에 최선"

한국지식재산협회 정남기 초대 회장


“국내 핵심 산업인 휴대폰ㆍ자동차 등에 대한 외국의 특허 침해 정도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정부와 협력하에 국내소재 기업의 지식재산을 보호하고 가꾸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국내 최초로 민ㆍ관 협력하에 설립된 한국지식재산협회(KOIPA)의 정남기(56ㆍ현대모비스 부사장) 초대 회장은 24일 서울 리츠칼튼호텔에서 창립 세미나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정 회장은 이날 “관세청ㆍ국세청ㆍ검찰ㆍ산업자원부 등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해 국내기업의 특허 및 상표권 침해 사례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한편 활발한 대정부 활동을 통해 특허정책의 선진화에도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현재 기업들은 국내외에서 지식재산권이 침해당해도 어디서부터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몰라 많은 애로가 있다는 게 정 회장의 설명. 기껏해야 개별적으로 해당 기업을 검찰 등 관계당국에 고소하는 정도였다. 하지만 정 회장은 이번 협회가 개별 기업 상품의 특허 침해 실태부터 대응전략 등을 일괄 서비스함으로써 튼실한 국가경제 기반 조성에 일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국내 교역량의 10%는 가짜 위조품이라는 게 업계 추정”이라며 “기술집약적 구조인 우리나라가 이 같은 특허 및 상표 침해 사태를 방치할 경우 국내 핵심 산업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미 쌍용자동차ㆍGM대우ㆍ르노삼성 등 대기업은 물론 유명 지퍼업체인 YKK, 의류업체인 카시나 등 10여개 업체가 협회 회원에 가입하겠다는 의사를 내보였다. 정 회장은 “중국 등 후발국들이 국내 자동차의 브레이크 부품, 자동차 디자인, 휴대폰, 의류 등을 베껴 불법적으로 판매하고 있다”며 “협회가 정부와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해 이들 침해에 대한 단속 지원에 나서는 한편 중장기적 대응 방안 및 정책 제언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계 유명 다국적기업들이 자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세계시장에서의 자기 브랜드 및 특허 지키기에 적극적으로 나서자 한국의 휴대폰 등 IT제품이 특허 침해 대상이 되고 있다고 정 회장은 우려했다. 특히 중국산 가짜 제품들이 한국을 경유해 일본 등 선진국으로 팔려나가고 있어 국내산업 피해는 물론 국가 신용도도 저하되는 피해를 보고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정 회장은 “기업 글로벌화로 기술력과 브랜드 가치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며 “정부와 협력해 기업 지식재산권을 조직적으로 보호 및 강화함으로써 국가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