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보잉-다쏘社 신경전 가열

F/X기종 선정 수개월 앞두고…공군의 차세대 전투기사업(F/X)을 수개월 남겨두고 미국 보잉사와 프랑스 다쏘사 간의 신경전이 뜨거워지고 있다. 프랑스 다쏘사는 최근 미국 의회가 F15대신 F22(일명 '랩터')를 차세대 주력기로 선정하기로 한 데 대해 "F15가 개발된지 30년 이상된 노후기종임을 스스로 인정한 셈"이라며 "FX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라팔이 유리한 고지를 장악하게 됐다"고 반기고 있다. 다쏘 한국지사의 한 관계자는 "미 공군의 전력 구성에서 F15가 배제되면 FX사업의 후보기종으로 내놓은 F15K의 운영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보잉사는 "미 의회 발표는 F15A, B, C, D 등 제공용 전투기를 2030년까지 록히드 마틴사의 랩터로 대체한다는 계획일 뿐 F15K의 원형 모델인 F15E를 계속 유지한다는 방침은 변함이 없다"고 반박했다. 보잉 한국지사의 한 관계자는 "F15K는 한국 공군이 요구하고 있는 공대공, 공대지 공격이 가능한 다목적 전폭기"라며 "F15E가 2030년 이후까지 계속 사용될 예정이어서 후방 군수지원 등에 아무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미 공군은 2006년이후 구형 F-15를 랩터로 급속히 대체해 나갈 계획인 반면 현재 사용중인 F-15E는 200대이상 수준에서 계속 運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현재 10여대이하만 시범 생산된 랩터는 미 공군이 심혈을 기울여 개발중인 미래형 전투기로 성능은 우수하지만 가격이 F15K에 비해 두배이상 비싼 것으로 알려져 결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오는 10월 15~21일 성남 서울 공항에서 열리는 '서울 에어쇼 2001'은 라팔과 F15K의 '최후의 대결장'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보잉사는 3대의 F15E를 투입, 오랜 실전 경험을 거친 광범위 작전 수행 능력을 뽐낸다는 구상이며 다쏘사는 라팔의 자체방어시스템인 '스펙트라'와 목표물 타격 능력이 뛰어난 최첨단 전자주사식 레이더 등 첨단 디지털 기능을 자랑할 계획이다. 에어쇼에 같이 참여하는 영국ㆍ스페인 등 유럽4개국 합작사인 유로파이터사는 타이푼(EF2000)의 실물 크기 모형만을 전시할 계획이며, 러시아 로스보루제니야사도 수호이(SU35) 시범비행을 선보일 예정이나 직구매외에 기술제공생산, 공동 생산 등 납품 방식에 제약이 있는 것이 최대 약점으로 꼽힌다. FX사업은 국방부가 총 40대(약 4조3,000억원) 규모의 최신형 전투기를 발주, 2004년부터 매년 10대씩을 납품받아 2008년 2개 전투대대를 완성하는 사업으로 당초 9월까지 자격을 갖춘 공급업체를 선정할 예정이었으나 선정작업이 지연되면서 결정 시기를 오는 11월이후로 늦춘 것으로 알려졌다. 강동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