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협중앙회, 대우차 인수 실현성 의문

컨소시업구성도 회의적…자금확보 불투명박상희(朴相熙)회장은 기회있을때마다 중소기업컨소시엄의 대우자동차 인수를 주장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자금조달, 향후 기업운영 플랜 등의 명확한 밑그림이 그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나온 즉흥적인 발언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朴회장은 대우자동차 인수전 참여 공식선언과 함께 주위의 회의적인 시각을 의식, 나름대로의 논리를 가지고 인수전략을 밝혔다. 그러나 아직까지 중소기업컨소시엄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대부분이다. ◇인수논리=인수자금으로 제시한 1조7,000억원의 근거로 朴회장은 현대가 기아자동차를 인수할때 부채 12조8,000억원 중 7조4,000억원을 탕감받고 나머지 부채도 10년에 걸쳐 갚기로 한점을 상기시켰다. 결국 현대는 1조1,780억원만 투입하고 넘겨받았다는 설명. 추후 필요한 운영자금 등은 금융기관에서 조달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경영권 문제에 대해서도 전문경영인을 선임해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겠다는 구상. 오히려 수천개에 달하는 부품업체를 비롯한 국내기업들이 주주로 참여, 자동차판매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다. 자동차 부품업체들은 주변의 회의적인 시작과는 달리 컨소시엄 구성에 상당히 호의적이다. 대우차가 GM, 포드 등 외국업체로 넘어갈때 필요부품을 외국에서 조달할 가능성이 높고 이럴경우 업체의 생존권이 위협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전세계적으로 새로운 생산방식인 부품의 모듈화가 가속화될 경우 이 부문 기술력이 뒤쳐지는 국내업체는 큰 타격을 면치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1조7,000억원 조달 가능한가=먼저 기협중앙회와 산하조합으로부터 조달할 계획인 1,000억원. 이들이 보유하고 있는 한통프리텔 주식 110만여주를 처분할 경우 간단하게 조달할 수 있다고 朴회장은 설명하고 있다. 이중 중앙회가 보유하고 있는 58만여주는 중앙회이사회 의결을 거쳐 현금화가 가능하다. 27일 현재 한통프리텔의 주가는 9만원대로 이를 모두 처분할 경우 500억원대가 된다. 문제는 조합과 회원사들이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주식 55만여주다. 우선 이 주식은 기협중앙회에서 『처분하라 마라』할 자격이 없다. 조합이나 회원사의 고유자산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확인결과 많은 조합들과 회원사들은 이미 이 주식들을 처분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우협력사를 비롯한 자동차부품업체로부터 조달할 계획인 5,500억원도 마찬가지. 朴회장은 이들 업체로부터 1억원씩만 출자받아도 충분하다는 생각이지만 몇몇업체를 제외하고는 영세성을 면치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선뜻 1억원씩을 투자할 업체가 많지 않으리란 전망이다. 중견기업이나 벤처기업, 일반중소기업의 경우도 비슷하다. 대우자동차의 경영전망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3,000억~4,000억원이라는 거금을 투자받는 것이 말처럼 쉽지 않아 아직은 朴회장의 「희망사항」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설사 1조7,000억원을 조성한다고 해도 인수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자동차업계의 중론이다. ◇다른 이유는 없는가=일부에서 주장하는 「현대배후설」에 대해 朴회장은 이날 부인했다. 그러나 그는 『중소기업이 중심이된 컨소시엄으로 인수가 불가능할 경우 완성차를 생산하는 대기업과 협력도 가능하지 않겠느냐』고 밝혀 현대자동차와의 협력가능성을 열어놨다. 그동안 朴회장은 현대자동차측에서 개최한 부품업체모임에 이례적으로 참여하는 등 현대와 모종의 협의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을 불러왔다. 더구나 朴회장은 대우자동차의 해외매각이 국내 자동차산업의 위기를 불러오고 부품업체의 연쇄도산 우려 『팔이 안으로 굽지 않겠느냐』는 애국심에 호소하는 논리를 전개하고 있다. 이는 현대측의 「대우자동차 해외매각 반대」논리와 정확히 일치하고 있다. 朴회장은 부인하고 있지만 독과점문제, 대내외적인 여론악화문제 등으로 인수참여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현대자동차를 대신해 기협중앙회가 「총대」를 맨것이 아니냐는 추측은 여기서 나온다. 정맹호기자MHJEONG@SED.CO.KR

관련기사



정맹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