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현대건설 매각작업' 지연 가능성

현대건설 매각작업 이번주부터 '본궤도' <br>인수가격 8兆~10兆… 자금 확보가 관건<br>두산등 중견그룹 움직임에도 관심 집중


'현대건설 매각작업' 지연 가능성 외환은행-산업銀등 채권단 운영위 소집 싸고 '불협화음'산업은행 입장이 관건…하반기께나 진행될듯현대그룹 vs 汎현대가 '인수 맞대결' 점쳐 정상범기자 ssang@sed.co.kr 문승관기자 skmoon@sed.co.kr 올해 인수·합병(M&A) 시장의 최대 매물로 꼽히는 현대건설의 매각 시기를 둘러싸고 채권단 내부의 불협화음이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현대건설 주주협의회 주관사인 외환은행은 연내 매각 완료를 원하고 있지만 산업은행은 '옛 사주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매각을 진행할 수 없다는 과거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건설 매각 작업은 하반기께에나 진행될 가능성이 농후해졌다. 현대건설 주주협의회 주관 기관인 외환은행은 이달 28일 운영위원회를 소집하고 매각 자문사 선정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외환은행의 한 관계자는 "산업은행의 찬성 여부에 따라 운영위 일정이 유동적이기는 하지만 산업은행도 매각 자체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찬성하는 입장이어서 좋은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외환은행은 매각 주관사를 우선적으로 선정해 매각 일정을 진행하면서 옛 사주 문제를 논의하자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산업은행의 한 관계자는 "올 들어 외환은행으로부터 운영위원회 소집 요구를 공식적으로 받은 적이 없다"며 "현대건설 매각 문제도 공식적인 테이블에서 논의한 바 없고 아무런 입장을 밝힌 바도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달 28일 운영위원회는 열리지 않을 것"이라며 "외환은행은 빨리 팔고 이익을 챙기겠다는 입장이지만 옛 사주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매각 절차에 들어갔다가 복잡한 법적ㆍ사회적 논란이 불거지면 결국 국책은행인 산은이 가장 큰 책임을 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산업은행은 옛 사주 문제를 어떻게 풀 것인지를 먼저 매듭지은 다음에 매각 주간사를 선정하는 등 인수·합병 절차를 진행하자는 주장이다. 조속한 매각을 원하는 외환·우리은행으로서는 산업은행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산업은행의 입장에 따라 매각의 속도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현대건설 매각 시기를 놓고 채권단 내부의 의견이 엇갈리고는 있지만 현대그룹을 비롯한 인수희망 기업들은 현대건설 매각 작업이 머지않아 수면위로 떠오를 것으로 보고 서서히 인수 채비에 나서고 있다. 현대건설의 매각 작업이 본격화할 경우 일단 현대그룹과 현대중공업ㆍKCC 등 범현대가의 맞대결 가능성이 클 것으로 재계에서는 보고 있다. 다만 인수가격이 8조~10조원에 달할 것으로 보여 자금 부담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느냐가 인수전의 승패를 가름짓는 관건으로 부각될 전망이다. 현대건설 인수에 가장 적극적인 현대그룹은 현정은 회장이 "현대건설을 꼭 되찾아오겠다"고 선언하는 등 그룹의 사활을 걸고 있다. 현대그룹은 이미 2~3년 전부터 현대건설 인수를 위한 별도의 팀을 만들고 준비 작업을 펼쳐왔으며 내부적으로 1조원 정도의 현금을 확보해놓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대그룹의 한 관계자는 "채권단의 매각 방침이 나온다면 구체적인 인수 전략을 면밀하게 검토해보겠다"면서 "대의명분이나 대북사업 관계 등을 감안할 때 반드시 현대그룹의 품에 안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대중공업은 막강한 현금 동원력과 시너지 효과를 앞세워 현대건설 인수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현대중공업이 최근 대형 M&A 전에 단골 후보로 뛰어든 것도 현대건설 인수를 위한 사전 몸풀기라는 얘기마저 나올 정도다. 최근 현대중공업과 밀월관계를 지속하고 있는 KCC가 어떤 입장을 취할지도 관심거리다. 현대가 외에 건설사업 확대를 꿈꾸는 두산 등 중견 그룹들도 매각작업이 본격화하면 속속 현대건설 인수전 참여를 공식화할 것으로 보인다. 모 중견그룹의 한 관계자는 "나름대로 현대건설에 관심이 많긴 하지만 범현대가의 집안일로 비춰져 공개적으로 인수 여부를 밝히기 어려운 게 사실"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