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뇌 속 영상 손금 보듯 본다"

가천의대 조장희 박사팀, 뇌 표면 잔주름과 미세혈관까지 촬영

조만간 뇌의 구조와 움직임을 손금 보듯 볼 수있는 시대가 올 전망이다. 가천의대 뇌과학연구소(소장 조장희)는 사람의 뇌를 손금 보듯 볼 수 있는 `퓨전영상시스템(PET-MRI Hybrid System)' 개발에 앞서 시스템 구축의 핵심 장비인 초고해상도 MRI(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 7.0T)로 촬영한 뇌 속 사진을 20일 공개했다. 뇌과학연구소는 이날 인천 길병원 내에 세계 최대 규모의 첨단 뇌영상 장비 구축을 마치고 개원식을 열었다. 연구소가 이번에 공개한 사진은 퓨전영상시스템의 1차 결과물로 국내 병원에서두루 쓰이고 있는 저해상도 MRI(1.5T)가 포착하지 못했던 뇌 표면의 7겹 잔주름과미세 혈관, 뇌간의 작은 구조들까지 상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7겹으로 돼 있으면서 겹마다 기능이 다른 것으로 알려진 인간 뇌의 피층을 들여다보는 것은 뇌과학자와 심리학자들의 오랜 꿈이었다. 뇌과학연구소는 이와 함께 저해상도 MRI(1.5T)와 뇌과학 전용 양전자방출단층촬영장치(HRRT-PET)를 합성한 퓨전영상(동영상)도 공개함으로써 초고해상도의 완벽한퓨전영상 개발(2008년말 예정)이 멀지 않았음을 대내외에 보여주었다. 초고해상도 퓨전영상은 뇌질환의 원인을 유전학적 수준, 즉 분자 게놈영상으로분석해 발병 전에 병의 징후를 알아낼 수 있는 `꿈의 장비'라고 조장희 박사는 설명했다. 초고해상도 MRI(7.0T)는 가천뇌과학연구소가 지멘스로부터 구입한 장비로 독일마그데버대학, 미국 하버드대학, 뉴욕대에 이어 4번째로 보유하게 됐으며 PET의 최신기종인 HRRT도 한국이 세계 5번째 구입국이라고 연구소는 덧붙였다. 두 장비 모두 연구용으로만 보급돼 성능 검증을 받고 있는 단계다. 조 박사는 "새 장비는 해상도와 조기진단 정확도가 떨어지는 PET에 MRI의 고해상도를 결합한 것"이라며 "이 장비가 완성되면 질병 치료에 획기적 전기가 마련되는 것은 물론 수천억 달러의 요양비 절감과 첨단 의료기술인력 양성, 해외 로열티수입 등 산업적 파급효과가 무궁무진하다"고 말했다. 연구소는 이날 서울롯데호텔(소공동)에서 MRI개발로 91년 노벨화학상을 받은 리차드 언스트교수, 기능성 자기공명영상장치(fMRI)를 개발한 일본의 세이지 오가와박사, 지멘스 메디컬 레카르토 회장, 조 박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뇌영상 기술에대한 세미나도 함께 개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