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KOBACO 광고진흥사업 폐지 계획 철회를"

광고업계·학계 "광고산업 발전 저해" 의견서 제출

정부가 한국방송광고공사의 광고진흥사업 폐지를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광고업계와 학계가 일제히 강한 반대의견을 표명했다. 한국광고업협회와 한국광고영상제작사협회, 한국광고자율심의기구 등 광고업계를 대표하는 3개 단체와 한국광고학회, 한국광고홍보학회, 한국방송학회, 한국언론학회 등 4개 광고관련 학회는 최근 기획재정부에 ‘방송광고공사의 광고진흥사업 중단 계획을 철회해 달라’는 내용의 의견서나 건의서를 잇달아 제출했다. 정부는 현재 공기업 선진화의 일환으로 공사의 광고진흥사업 폐지를 검토하고 있하고 광고업계와 학계는 이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들 광고관련 단체들은 의견서 및 건의서에서 “우리나라 광고산업이 세계 10위권의 규모로 성장했는데도 불구하고 각종 인프라는 규모에 비해 매우 취약한 상황”이라고 밝히면서 “대적으로 열악한 한국의 현실에서 질적 충전을 가능케 한 유일한 공적 기관이 방송광고공사”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공사의 광고진흥사업이 중단되면 광고산업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이 중단될 뿐 아니라 결과적으로 광고산업의 발전을 저해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또 “교육, 연구ㆍ조사, 출판, 공익광고, 시청률검증, 광고산업통계, 각종 인프라구축 등 방송광고공사가 그동안 수행해온 광고진흥사업이 우리나라 광고산업 발전에 적지 않게 기여해왔다”면서 “공사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광고진흥사업을 중지한다면 광고계의 중요한 인프라들이 그대로 없어지게 될 것이며, 광고학 연구 및 학술활동에도 심각한 장애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국가경제 발전에도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공사는 방송광고 대행으로 얻은 수익 가운데 매년 100억원 가량을 광고교육원과 연구소 운영, 공익광고 등 광고진흥사업에 쓰고 있다. 광고진흥사업은 그 성격에 비춰볼 때 상당한 예산이 필요한 데다 수익이 발생하는 영역이 아니므로 현실적으로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민간에서 수행하기 어렵다는 게 광고관련 단체들의 주장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