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해외비중 높은 대형건설주 주목

현대건설·대림산업·GS건설등


건설주가 국내 주택경기 악화로 단기간 낙폭과대에 따른 반등을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해외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대형건설사들에 대한 선별적 접근이 유효할 것으로 분석된다. 20일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올들어 건설업종지수가 42.89%(18일 기준) 하락해 전 업종중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종 외에 40% 넘게 하락한 업종은 증권업종(-42.16%)이 유일하다. 특히 전기전자업종이 같은 기간 4.10% 내린 것에 비하면 건설업종의 하락률은 무려 10배가 넘는다. 종목별로는 전고점 대비 주가가 50% 이상 폭락한 종목만도 12개 종목에 이른다. 금호산업이 63.96% 폭락한 것을 비롯해 현대산업(-55.57%), 대우건설(-55.47%), 대림산업(-54.25%), 두산건설(-51.06%) 등 대형건설사 역시 맥없이 추락했다. 반토막 수준은 벗어났지만 GS건설(-45.26%), 동부건설(-41.47%), 현대건설(-35.15%) 등도 체면을 구겼다. 이 같은 건설업종의 탈진현상은 증시 여건이 불안한 가운데 특히 건설업종의 주무대인 주택경기가 악화된 탓으로 풀이된다. 강승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향후 부동산 가격이 하락추세에 접어드는 등 주택경기가 침체에 빠질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며 “이런 와중에 글로벌 증시불안이 겹치면서 건설업종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현 주가수준이 싸다는 데 동의하지만 경제상황에 전반적인 개선조짐이 나타나지 않는 이상 한동안 강한 반등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보수적 관점을 유지하면서 지수반등시 낙폭과대로 상승탄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대형사나 주택비중이 적고 해외나 공공부문 비중이 높은 종목에 대한 선별적 투자가 유효하다는 분석이다. 강승민 연구원은 “현대건설, 대림산업, GS건설 등 해외비중이 높은 대형사들을 위주로 한 접근전략이 유리해보인다”고 설명했다. 김석준 SK증권 연구원은 “공공부문에서 강점을 나타내고 해외수주가 증대되고 있는 현대건설과 해외수주 급증에 따른 실적개선이 예상되는 희림 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