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환경성질환 치료환자 4년새 120만명 증가

지난해 665만명 달해


환경성 질환으로 치료받는 환자들이 매년 늘어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난 2006년 한해 동안 대표적인 환경성 질환으로 분류되는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천식으로 진료받은 환자가 665만명으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연도별 환경성 질환 환자는 2002년 545만명, 2003년 570만명, 2004년 614만명, 2005년 656만명, 2006년 665만명 등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질병별로는 아토피 피부염 환자가 2002년 112만명에서 2006년 108만명으로 3.9%감소했고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2002년 296만명에서 2006년 401만명으로 35.6%, 천식 환자는 2002년 198만명에서 2006년 231만명으로 16.6% 늘었다. 지역별로는 아토피 피부염과 알레르기 비염은 제주, 천식은 광주가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저항력이 약한 9세 이하 아동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월등히 많은 진료를 받았다. 9세 이하 아동 가운데 천식은 5명 중 1명(19.6%), 알레르기 비염은 6명 중 1명(16.3%), 아토피 피부염은 9명 중 1명(11.4%)이 치료를 받았다. 아토피 피부염은 9세 이하 아동 중 11.4%가 앓았지만 30대 이후부터는 1% 미만으로 급감했다. 천식은 흡연 등 생활습관의 영향으로 ▦30대 2.4% ▦40대 2.5% ▦50대 3.5% ▦60세 이상 6.3% 등으로 나이가 들수록 발생률이 증가했다. 환경성 질환에 대한 진료비 지출도 만만찮다. 환경부가 환경성 질환 진료비를 조사한 바에 따르면 아토피 피부염 진료비는 2007년 302억원, 천식은 1,793억원을 기록했다. 한편 취학 전 6세 이하 아동의 경우 아토피 피부염 치료 환자는 서울시내에서 은평구ㆍ서대문구가 1,000명당 182명으로 높고 종로구는 140명, 용산구 146명 등이 낮았다. 알레르기 비염은 서대문구(186명), 노원구(182명) 등이 높고 중구(113명), 서초구(116명) 등이 낮았다. 천식은 노원구(265명), 중랑구(247명) 등이 높고 강남구(122명), 서초구(137명) 등이 낮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