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인터뷰] 진승현 MCI코리아

[인터뷰] 진승현 MCI코리아 "리젠트주식 회장 되사는 건 매집" 진승현 MCI코리아 부회장은 지난 25, 26일 이틀간 기자와의 전화통화를 통해 "주가조작을 통해 큰 차익을 얻었다거나 거액의 로비를 했다는 의혹들은 사실과 너무 다르다" "억울하다"며 "11월30일까지 열린금고 대출금을 상환한 후 나와서 모든 것을 밝히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신 사장이 받은 돈은 로비자금이 아니라 주식매매 대금의 일부이며 신 사장은 이 돈을 개인적인 빚을 갚는 데 쓴 것으로 알고 있다"며 "리젠트증권 주식도 짐 멜론 회장이 되사주는 조건으로 사달라는 부탁을 해 사게 됐고 이로 인해 100억원의 손실을 입었다"고 주장했다. 다음은 진 부회장과 일문일답. -신인철 한스종금 사장에게 로비자금 20억원을 줬는가. ▲그건 로비자금이 아니라 주식 매매대금 중 일부다. 아세아종금에서 우회대출을 받아 자사주 620만주를 204억원에 샀다. 대출받은 돈이 181억원이어서 차액 23억원에 대해 로비자금이라고 말하는 데 그건 아니다. 이 사실은 주식매매 계약서에 다 나와 있다. -그럼 20억원은 어디에 쓰였는가. ▲204억원을 신 사장에게 줬고 신 사장은 대출금을 갚고 차액 23억원을 횡령해 그 돈으로 개인 빚을 갚는 데 사용한 것으로 알고 있다. 그 돈은 로비를 하라고 준 돈도 아니고 로비를 하지도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 -정ㆍ관계에 로비했다는 의혹이 많다. ▲터무니 없는 얘기다. 정관계에 로비 할 일도 없었고 아는 사람이 없어서 로비를 한다는 것도 우스운 것이다. 또 특혜를 받거나 제대로 된 일도 하나도 없는데 무슨 로비를 했다는 것이냐. -주가조작을 통해 거액의 차익을 챙겼다는 혐의가 있다. ▲리젠트증권 주식을 사기 위해 허수 주문 등 기술적으로 시세조정을 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주가조작을 통해 차익을 남기지는 않았다. 오히려 100억원의 손해를 봤다. 매매형태나 주문방법 등 세밀한 부문에선 잘못이 있지만 주가를 조작하고 차익을 남기기 위해서 한 것은 아니다. -그럼 리젠트증권 주식은 왜 샀는가. ▲지난해 10월 짐 멜론 리젠트그룹 회장이 12월에 되사주겠다며 주식을 사달라고 부탁했다. 대주주간의 신의에 의해 서로 도와주고 싶었기 때문에 150억원어치를 샀다. 그런데 한꺼번에 많은 주식을 사다보니까 기술적으로 싸게 사기 위해 허수 주문을 냈다. 그래도 하루에 10만주를 비싸게 살 수밖에 없었다. -주식은 왜 팔지 않았는가. ▲사실 고가에 매도할 기회가 있었지만 짐 멜론 회장이 되사주겠다고 해 팔지 않았다. 그러다 주가가 떨어져 현재는 100억원의 손해를 봤다. 거기다 리젠트그룹은 자금사정이 안 좋아져 지금까지도 그 주식을 되사주지 못하고 있다. 100억원의 손해도 억울한데 주가조작 혐의까지 너무 답답하다. -열린금고 대출금은 로비를 위한 자금이 아닌가. ▲기존 차입금을 상환할 자금이 딸려서 그랬다. 차입금으로 주식운용을 하다가 손절매(로스컷)를 못하고 타이밍을 놓쳤다. 손실률이 높아 못 팔고 대출을 받아 차입금을 상환하게 됐다. 잘못했다고 인정한다. 그래서 30일까지 270억원을 상환하고 행정처분을 받으려고 했다. 금고 경영에서 손 ?고 매각하겠다는 각서도 금감원에 제출했다. -검찰에는 언제 출두할 생각인가. ▲돈을 갚은 다음에 나와서 밝히겠다. 11월30일이 예정이다. 돈을 갚으려면 보유 주식 매각이나 계열사 지원을 받아야 하는데 이번 일이 터지면서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금요일도 주식을 120억~130억원에 매수하기로 한 투자자가 구설수에 오르기 싫다며 매입을 안 해줬다. 엄청난 피해를 보고 있다. -열린금고는 과거에도 두번씩이나 불법적인 행위로 경고를 받았다. ▲불법인지 몰랐다. 열린금고가 단기자금을 운용하기 힘들어 시크마창투를 통해 콜거래를 하다가 적발된 것이다. 당시 시그마창투는 5,000억원의 콜거래를 하고 있었다. -한스종금의 인수자인 SPBC가 유령회사라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데. ▲스위스계 은행들은 한스종금에 투자하지 않았다. 은행의 신탁계정이 SPBC에 참여했고 SPBC가 한스종금에 투자했다. 그래서 은행들이 한스종금을 모른다고 생각한다. -열린금고를 인수한 이유는 자금마련인가. ▲아니다. 정인환 전 사장이 금고 주식을 담보로 MCI에서 200억원을 빌린 후 외국으로 도피해 버려 얼떨결에 인수했다. 그때 인수하면서 부실을 다 메꿨었다. -부당대출을 다른 곳에서도 많이 받았다고 하는데. ▲그렇지 않다. 대출은 리젠트종금과 열린금고로부터만 받았다. 다른 데서 대출받은 것은 없다. 자체 자산으로 이익을 내거나 다른 데서 담보 대출받은 적은 있다. -리젠트종금에서 부당 대출했다는 360억원은 뭔가. ▲3월에 있었던 일로 현대창투가 담보를 맡기고 돈을 빌린 것이다. 대출만 받으면 무조건 불법인가. 부당대출이기는 하지만 불법은 아니다 그래서 금감원이 7월 주의적기관 경고를 내리면서 마무리됐다. -지금 심정은. ▲파렴치범으로 매도되는 게 억울하다. 또 열린금고 고객들이 피해를 보게 된 것도 너무 안타깝다. 오는 30일 대출금을 갚고 열린금고를 정상화시킨 후 매각할 계획이었는데 언론에 먼저 터져 나오면서 열린금고가 영업정지를 당했다. 얘기가 먼저 나오는 바람에 공적자금도 들어가게 됐고 예금자도 손해보고 금감원도 입장이 난처하고 MCI도 어려움에 처하게 되는 등 좋은 게 하나도 없다. 소액투자자들에게 피해를 안 주려는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 아쉽다. 우승호기자 입력시간 2000/11/26 18:17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