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국내 기업 매출증가율 주요국 가운데 최저”

“국내 기업 매출증가율 주요국 가운데 최저”

한경연 세미나



국내 기업의 매출액 증가율이 미국 등 선진국은 물론이고 신흥국에도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률도 2000년 이후 하락세여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조치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이 16일 전경련 콘퍼런스센터에서 ‘위기의 기업 경쟁력, 실상과 극복방안’을 주제로 연 세미나에서 발표자인 신현한 연세대 교수는 우리나라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선진국, 신흥국 200대 제조기업의 재무 비율을 비교한 내용을 근거로 이같이 밝혔다.

신 교수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기업의 매출액 증가율(0.52%)은 선진국(4.16%), OECD 회원국(3.69%), 신흥국(5.06%)과 비교할 때 가장 낮았다.


특히 우리나라 기업의 매출액 증가율은 2008년 이후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 우리나라 200대 제조업체의 매출액 증가율은 20.99%로 빠른 회복세를 보였지만 2009년 6.33%로 크게 떨어지기 시작해 지난해 0.52%로 급감했다.

관련기사



반면 미국 등 주요 선진국 제조업체의 매출액 증가율은 금융위기 이후인 2009년 -6.95%까지 하락했으나 2010년 8.65%로 회복한 뒤 2012∼2014년 3%대 후반∼4%대 초반을 유지했다.

국내 기업은 수익성도 나빠졌다. 영업이익률도 우리나라는 2000년 6.79%에서 2014년 4.23%로 하락한 반면 주요 선진국 기업의 영업이익률은 2000년 6.17%에서 2014년 8.01%로 상승했다.

우리나라는 2010년을 기점으로 영업이익률이 2011년 4.83%, 2012년 4.17%로 꾸준히 감소했으나 선진국은 2011년부터 2014년까지 계속 8%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신 교수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낮아진 경제성장률이 영향을 미친 데다 수출 중심 산업구조이기 때문에 환율 등 통화 가치 하락에 큰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며 “우리나라의 높은 고정비 등 기업의 내부 요인도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각종 지원책이 필수라는 지적이 나왔다.

한재진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상장기업 약 525개의 R&D 투자 효율성 지표가 한·중·일에서도 가장 떨어진다”며 “정부의 규제 완화와 R&D에 대한 인센티브 제도가 체계적으로 운용돼야 한다”고 했다. 남성일 서강대 교수는 “일반해고 및 경영상 고용조정의 규제 완화, 대체근로 허용, 임금체계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