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당 정체성 '커밍아웃' 요구받는 국민의당

"중도당 원래 모호할 수 밖에… 민생·경제문제 차별화에 방점

창당 후 우리만의 목소리 낼것"… 한상진發 이념논쟁 진화 나서

안철수와 송기석
송기석 전 부장판사 영입, 국민의당의 우클릭 행보가 주목을 끌고 있는 가운데 정확한 노선에 대한 궁금증 역시 확대되고 있다. 18일 오전 서울 마포구 국민의당 창당준비위원회 사무실에서 열린 송기석 전 광주지법 부장판사 영입 기자회견에서 안철수(가운데) 인재영입위원장이 송 전 판사와 악수를 하고 있다. 오른쪽은 김영환 전략위원장. /연합뉴스

국민의당이 당 정체성이 모호하다는 지적을 받으면서 대책 마련에 절치부심하고 있다. 최원식 국민의당 대변인은 18일 "중도당이 원래 모호할 수밖에 없다"며 "역사관 논쟁은 원하지 않고 경제 문제와 민생 문제에 대해 당의 입장을 정리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모호함은 당 내부적으로도 문제가 됐다. 한상진 국민의당 창당준비위원장이 "이승만 전 대통령은 국부"라고 한 것을 두고 당 내부에서 갈등이 생긴 것이다.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선대위원장이 "이 전 대통령은 민주주의 원칙을 파괴한 사람"이라며 한 위원장의 '이승만 국부' 발언을 비판하자 한 위원장이 반격에 나섰다. 한 위원장은 이날 "가장 많은 정권에 참여한 기록을 갖고 있는 김 위원장이 이 전 대통령 '국부' 발언을 비판했다"며 "전두환 정권의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에 참여한 분으로서 다른 대통령에 대한 평가를 해주시기를 요청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최원식 대변인은 확대기조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국부 발언은) 한 위원장의 사견"이라며 "위원장으로서 존중하지만 이 전 대통령에 대한 논쟁은 내부적으로 성숙한 다음에 나가야 한다"고 이념논쟁 차단에 나섰다. 확대기조회의에 참석한 의원들 사이에서도 한 위원장의 발언에 대해 "너무 나갔다"는 비판이 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당은 정책노선과 관련해 여권에서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 노동 5법과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등에 대해서는 더민주와 뜻을 같이하고 있다. 노동 5법 중 파견법과 기간제법은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고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역시 보건과 의료 분야를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단 더민주의 이념적 취약 분야인 북한과 안보 부문의 법인 북한인권법과 테러방지법에 대해서는 "여당과 합의할 수 있다"고 밝힌 상태다. 국민의당 측 관계자는 "총선을 앞두고 쟁점 법안에 대해 파격적인 입장을 내놓을 수 없다"며 "창당 이후 당이 정비되면 우리만의 목소리를 내놓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박형윤기자 manis@sed.co.kr


관련기사



안의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