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여의도 한강공원에 통합선착장·복합문화시설 짓는다

한강 자연성 회복·관광자원화 추진

1933억 투입해 2019년까지 조성

여의도한강공원 부지에 2,000억원이 투입돼 여객선과 유람선, 요트까지 정박이 가능한 통합선착장과 피어데크(부두형 수상데크)가 들어선다. 또 여의테라스와 복합문화시설도 함께 조성된다.

서울시는 19일 한강 자연성 회복·관광 자원화 추진방안의 4대 핵심사업으로 수상 시설인 통합선착장과 피어데크, 육상시설인 여의테라스와 복합문화시설을 여의도 한강공원 내 부지 3만5,000㎡에 1,933억원을 들여 2019년까지 조성한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접근성이 좋고 유동인구가 많은 여의도 지역에 문화·관광콘텐츠를 우선 집적해 관광명소화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들 사업이 가시화되면 한강 내 페리부터 유람선, 요트까지 다양한 종류의 선박이 자유롭게 입출항할수 있고 다양한 먹거리와 살거리, 볼거리, 즐길거리가 어우러질 수 있을 것으로 서울시는 기대했다. 한강을 활용한 새로운 관광명소가 여의도에 들어서게 되는 것이다.

시는 이를 위해 이날 기본계획 수립 용역 입찰공고를 실시했다. 기본계획은 작년에 중앙정부와 공동 발표한 기존 구상을 기초로 하되, 이를 구체화한 세부 밑그림에 해당된다.

눈에 띄는 것은 이번 기본계획 입찰공고는 설계 등 기술을 담당할 업체와 콘텐츠와 수익구조 등을 기획하는 사업기획 담당업체가 공동으로 입찰하도록 하는 '공동도급' 형태로 추진된다는 점이다. 서울시는 이 같은 공공도급 형태는 공공부문에서는 "최초로 도입되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지금까지 공공 대형사업 발주는 하드웨어적인 기본계획 수립이 중심이었지만, 이번 사업의 경우 소프트웨어적인 콘텐츠나 수익성, 공공성 조화 방안 등을 사업 초기에 함께 검증하도록 해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강 세빛섬 사례처럼 수익구조는 생각하지 않고 일단 만들어 놓고 보자'는 식으로 진행해 오다 각종 논란을 일으켰던 실패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오는 상반기까지 기본계획의 윤곽이 나오면 사업자 공모나 설계공모를 진행하고, 하반기에 실시설계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